간호학 특론
- 최초 등록일
- 2022.11.20
- 최종 저작일
- 2022.09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1. 일탈로서의 질병에 대해 의료사회학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파슨스의 환자역할(sick role)에 대한 개념 및 환자역할의 제한점에 관해 설명하시오. 또한 파슨스의 환자역할에 대해 급성질환자와 만성질환자를 1인씩(총 2인)을 선정하여 사례를 조사하고 비교·분석하시오.
2. 구조기능주의 이론적 측면에서의 의료인과 환자 관계의 특성과 유형에 관해 설명하고 유형별 장단점에 대해 개인의 견해를 포함하여 설명하시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일탈로서의 질병에 대해 의료사회학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파슨스의 환자역할(sick role)에 대한 개념 및 환자역할의 제한점에 관해 설명하시오. 또한 파슨스의 환자역할에 대해 급성질환자와 만성질환자를 1인씩(총 2인)을 선정하여 사례를 조사하고 비교·분석하시오.
1) 일탈로서의 질병에 대해 의료사회학적 관점
2) 파슨스의 환자 역할(sick role)에 대한 개념 및 환자 역할의 제한점
3) 파슨스의 환자 역할에 대해 급성질환자와 만성질환자를 1인씩(총 2인)을 선정하여 사례를 조사하고 비교·분석
2. 구조기능주의 이론적 측면에서의 의료인과 환자 관계의 특성과 유형에 관해 설명하고 유형별 장단점에 대해 개인의 견해를 포함하여 설명하시오.
1) 구조기능주의 이론적 측면에서의 의료인과 환자 관계의 특성
2) 구조기능주의 이론적 측면에서의 의료인과 환자 관계의 유형과 장단점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T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대중매체의 등장은 의학지식을 접할 기회가 쉽게 늘어나면서 대중과 환자는 의료에 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다. 이제 환자는 의사가 기계적으로 들려주는 의학지식을 듣는 것보다 의사와 환자 간의 인간적인 소통이 이루어지길 원하고 있다.
최근 환자의 주권 의식이 높아지면서 환자와 대중은 의료 활동에서 소극적인 객체에서 적극적인 주체로 변하고 있다. 미디어와 인터넷에 의한 다양한 정보화의 촉진으로 의료 관련 지식이나 정보를 아는 환자가 늘어나면서 의료에 관한 알권리와 설명의무에 대한 개념이 확산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정보의 확산은 환자나 대중에게 의료 활동에 대한 기대치를 높였지만,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바람직한 의료서비스에 대한 개념과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이 제기되고 있다.
의료와 사회가 상호 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 것에 관해서 연구하는 학문을 의료사회학이며, 지식 사회학, 사회 인식론, 과학 및 기술 연구 등 관련하여 상호 깊은 관계가 있는 학문으로 의료사회학자는 환자의 의료에 관한 질적 경험에 관심이 있으며, 사회과학과 임상 과학의 교차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현상을 탐구하는 것으로 의료사회학의 이론적 기초를 정립한 사람이 바로 파슨스다. 파슨스는 환자가 겪는 질환에 대해서 단순히 생물학적인 장애로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가 질환으로 인해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장애로 이어지는 사회적 일탈로 정의하였다.
파슨스 환자 역할의 기본 가정은 바이러스 감염이나 상처가 활성화되면서 나타나는 것이 질병으로서 사람은 일부러 질병을 선택하는 것은 아니다. 파슨스의 환자 역할에서 환자는 사회로부터 정상적인 책임에 대해서는 면제를 받고 돌봄을 받아야 할 대상으로 환자는 건강한 삶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기술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파슨스의 이론은 환자 역할 내의 다양한 행위에 대한 설명에 소홀히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참고 자료
김영임, 간호학특론, 한국방송통신대 학교출판문화원, 2019.
김재형·이향아, 의료사회학의 연구 동향과 전망, 대한 의사학회, 의사학 제29권 제3호 통권 제66호, 2020년.
최상묵, 질병은 일탈(逸脫)이다, 서울대학교 명예교수회보, 2008.
반덕진ㆍ박성신, 사상의학에서의 의사-환자의 관계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8.
Science Direct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