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방송통신대학교 경영전략론 4학년 2학기 기말 과제(A) - 비즈니스모델 캔버스유형,실물옵션이론,자원기반이론/인수합병/브리콜라주모형
- 최초 등록일
- 2022.11.06
- 최종 저작일
- 2021.10
- 10페이지/ MS 워드
- 가격 4,500원
소개글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경영전략론 4학년 2학기 기말 과제(A) - 비즈니스모델 캔버스유형,실물옵션이론,자원기반이론/인수합병/브리콜라주모형"에 대한 내용입니다.
1. 기업을 한 개 선택하여 다음의 방식으로 각각 분석하시오
(1) 비즈니스모델캔버스모형 (2) 가치사슬모형
2. 최근 발생한 인수합병을 하나 선택하여 다음의 방식으로 각각 분석하시오.
(1) 거래비용이론 (2) 실물옵션이론 (3) 자원기반이론
3. 기업을 한 개 선택하여 브리콜라주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시오.
목차
1.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모형과 가치 사슬 모형 분석
(1)스포티파이(Spotify) 의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모형
(2)스포티파이의 가치사슬모형 분석
2. 최근 발생한 인수 합병을 하나 선택하여 다음의 방식으로 각각 분석하시오.
(1)카카오와 지그재그 합병에 대한 거래비용이론 분석
(2)실물옵션이론
(3)자원기반이론
3. 기업을 한 개 선택하여 브리콜라주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시오.
(1)파타고니아 기업의 브리콜라주 모형 분석
본문내용
스포티파이 - 2006년 설립된 스웨덴의 음악 스트리밍 및 미디어 서비스 기업 러셀 1000지수를 구성하는 지주 회사로 뉴욕 증권 거래소에는 Spotify AB 로 거래되고 있다. 본사는 미국 뉴욕에 있으며, 음반사 및 미디어 회사의 6천만곡 이상의 노래를 포함, 팟캐스트 등을 제공한다. 현재 전 세계 178개국에서 사용 가능하며, 현재 세계 최대의 음악 스트리밍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비즈니스 캔버스 모델 모형은 핵심 파트너, 핵심 활동, 핵심 자원, 가치 제안과 고객관계, 유통경로, 세분 고객과 비용 구조, 수익의 흐름 9가지의 기준으로 작성된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모형의 목적은 조직이 가치를 창출하는 방법과 고객에게 전달되는 방식을 도식화한 조직의 설계도로 볼 수 있으며 신규 비즈니스를 기획함에 있어 그 비즈니스의 실효성을 검토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스포티파이의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모형 분석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핵심 파트너이다. 음원 스트리밍과 팟캐스트를 제공하는 플랫폼인 스포티파이의 핵심 파트너는 음반사 및 미디어 회사가 될 것이다. 음반사가 스포티파이의 내부를 채워넣는 핵심 파트너라면, META(전 Facebook)는 기업의 확장을 돕는 핵심파트너로 기능하였다. 2011년이래 메타와 스포티파이는 소셜미디어에 음악을 더하는 협업을 진행해왔으며, 이는 스포티파이가 전 세계적인 글로벌 음원 스트리밍 회사로 발돋움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스포티파이의 핵심 활동은 팟캐스트의 도입과 같은 꾸준한 컨텐츠 개발이었다. 이러한 꾸준한 신 컨텐츠 도입은 신 시장 개척 및 잠재적 고객의 확보에 큰 도움을 주었으며, 또한 프리미엄 구독서비스를 통해 기존 고객들의 충성심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이러한 핵심 활동의 바탕에는 스포티파이의 핵심 자원, 엄청난 MAU(한달 간 이용 사용자, Monthly Active Users)를 바탕으로한 데이터와 꾸준히 전 세계의 음원시장에서 유입되는 음원 브랜드와 파트너가 있었다.
참고 자료
경영전략론, 2020, 신형덕, 라선아 공저
한겨레일보, 2021.04.14. 카카오, ‘지그재그’ 인수. “글로벌 패션 플랫폼으로 나아갈 것”
파타고니아 공식 홈페이지 - 환경과 사회에 대한 책임
Into the Heart of Patagonia’s Secret Archives, 2017, Brad Rassier
파타고니아, 파도가 칠 때는 서핑을, 2020, 이본 취나드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2016, 신형덕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