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화산책 ) 한복이 중국 문화(의 일부)라는 주장 관련 논란과 그에 대한 견해
- 최초 등록일
- 2022.07.11
- 최종 저작일
- 2022.06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과제정보
학과 |
국어국문학과, 중어중문학과, 관광학과 |
학년 |
1학년 |
과목명 |
중국문화산책 |
자료 |
9건
|
공통 |
◎ “한복이 중국 문화(의 일부)”라는 주장과 그에 대한 견해
2022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 행사 등에서 에서 한복 입은 여성이 오성홍기 게양식에 등장하여 논란이 일었습니다. 그 논란의 기저에는 “한복이 중국 문화(의 일부... 더보기
◎ “한복이 중국 문화(의 일부)”라는 주장과 그에 대한 견해
2022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 행사 등에서 에서 한복 입은 여성이 오성홍기 게양식에 등장하여 논란이 일었습니다. 그 논란의 기저에는 “한복이 중국 문화(의 일부)”라는 중국 측의 인식과 주장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의 문제가 깔려 있습니다. 동영상 강의 1강과 교재 1장에서 학습한 내용을 반영하여, (1) 중국에서 “한복이 중국 문화(의 일부)”라는 주장이 제기되는 배경 및 이유를 기술하고, (2) 그 주장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기술하세요. 접기
|
목차
1. 서론
2. 본론 -한복이 중국 문화의 일부라는 주장이 제기되는 배경
(1) 하나의 중국
(2) 팽창주의
3. 견해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북아시아 3국의 역사 왜곡 논란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현대의 민족국가가 확립된 이래, 국경이 가까운 만큼 서로 많은 영향을 주고받을 수밖에 없었던 동북아시아의 한국, 중국, 일본은 합심하여 노력할 때도 있지만, 서로의 이득을 위해 많은 부분에서 투닥거려 올 수밖에 없었다. 특히 역사와 관련한 문제들은 민족성을 강하게 띠는 세 국가의 특성상 큰 문제가 되어 왔다. 그중에서도 중국은 특히 동북공정이라 하여 고구려사와 발해사 같은 한반도 북부의 역사를 중국의 역사로 편입하려는 시도를 보여왔다.
그러한 흐름에 더불어 근래에는 한복 역시 중국 문화의 일부라는 주장이 점차 논쟁거리로 번지고 있다. 특히 2020년 11월 초 중국의 모바일 게임인 샤이닝니키에서의 한복이 중국의 복색이라는 점이 논란이 되어 한복이 한국의 전통문화라고 주장했던 한국의 유저들을 퇴출시킨 사건이 발생했고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중국 소수민족의 복색으로 소개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종 드라마, 매체 등에 한복이 중국의 문화라는 주장이 들불처럼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본문에서는 먼저 이러한 주장이 일어나게 된 배경과 이유를 분석해보고 이에 대해 의견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김수진, 2020, [펙트체크] 우리 한복이 중국 명나라에서 유래했다?,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01105151600502
박현주, 2020, "한복은 중국 옷" 막장 中게임에, 韓네티즌 '한복챌린지' 반격,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913876#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