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무역론) 방송대 교재 전자무역론 8강 전자무역 인프라를 요약 정리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2.03.10
- 최종 저작일
- 2022.03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1. 방송대 교재 전자무역론 8강 <전자무역 인프라>를 요약 정리하시오 (20점)
2. 방송대 교재 전자무역론 10강 <전자무역의 활용>을 요약 정리하시오 (20점)
3. 전자무역의 미래에 대해 기술하시오 (30점)
목차
1. 방송대 교재 전자무역론 8강 <전자무역 인프라>를 요약 정리하시오 (20점)
1) 전자무역의 구성요소
2) 전자무역 인프라요소
2. 방송대 교재 전자무역론 10강 <전자무역의 활용>을 요약 정리하시오 (20점)
1) 무역공급망 관리 및 전자무역의 활용
2) FTA와 전자무역의 활용
3) 무역업체 및 기관의 전자무역 활용
3. 전자무역의 미래에 대해 기술하시오 (30점)
본문내용
전자무역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비즈니스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 법적 및 제도적 요소로 분류가 가능하다.
1) 비즈니스적 요소
비즈니스적 요소는 우선 무역계약의 체결을 위한 정보수집과 해외시장조사 단계에서 무역계약의 이행까지 무역계약 종료를 위한 대금결제와 무역클레임 단계까지의 전자무역프로세스 전 과정의수행을 위한 단계별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전자무역프로세스의 경우 일반적으로 정보수집과 해외시장조사, 수출입마케팅과 무역계약의 체결, 물품의 확보, 무역관련 서류의 작성과 요건확인, 상역 및 외환 업무, 통관의 업무, 국제물류의 업무 등으로 이뤄진다.
비즈니스적 구성요소 관점에서의 전자무역 수행을 위해 전체적 기업업무의 관정을 위한 기업정보시스템이 요구되고 인터넷에서 불특정 다수의 공급자 및 수요자 간 비즈니스 유발이 가능한 e-마켓 플레이스가 요구된다. 또한 단절없는 무역의 제반 거래과정의 단일창구를 통해 통합된 업무 처리가 가능한 전자무역시스템이 필요하다. 전자무역을 수행할 전문인력, 무역관계기관, 전자무역 규율의 제도적 기반이 필요한 특징이 있다.
2) 기술적 요소
전자무역의 기술적 요소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의 기반기술과 암호화통신의 프로토콜, 가상사설통신망의 통신보안과 공개 키 기반구조 및 2차원 바코드 문사보안과 보안요소 기술 등으로써 이를 집약한 시스템이 바로 전자무역시스템이 된다.
이러한 전자무역시스템의 기술적 요소는 과거 단절되었던 무역업무프로세스의 통합과 연결을 통해 단일창구 상에서 구현함으로써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했다.
3) 법 및 제도적 요소
전자무역이 과거 무역거래와 다른 당사자 간 권리 및 의무관계의 발생으로 인해 규율이 가능한 법 및 제도 장치를 뜻하는 법 및 제도적 요소는 국내에 대표적으로 전자무역 촉진에 관한 법률과 대외무역법, 무역거래기반 조성에 관한 법률,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전자서명법, 상법의 전자선화증권 규정 등이 존재한다.
참고 자료
우리 교재
인터넷과 무역자동화 황중서 저 | 형설출판사 | 2000.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