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문학사) 근현대문학사 교재에서 다룬 1960년대 소설 가운데 한 편의 작품을 선택하여 읽고
- 최초 등록일
- 2021.08.11
- 최종 저작일
- 2021.08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과제정보
학과 |
국어국문학과 |
학년 |
3학년 |
과목명 |
근현대문학사 |
자료 |
4건
|
공통 |
<근현대문학사> 교재에서 다룬 1960년대 소설 가운데 한 편의 작품을 선택하여 읽고, 다음 내용을 반드시 포함하여 과제물을 작성하시오.
1. 해당 작품에 드러나는 1960년대 사회상(社會相)과 문화적 특징
2. 해당 작품의 문학사... 더보기
<근현대문학사> 교재에서 다룬 1960년대 소설 가운데 한 편의 작품을 선택하여 읽고, 다음 내용을 반드시 포함하여 과제물을 작성하시오.
1. 해당 작품에 드러나는 1960년대 사회상(社會相)과 문화적 특징
2. 해당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
3. 소설을 읽은 전체적인 감상 접기
|
소개글
과목명: 근현대문학사
과제명
<근현대문학사> 교재에서 다룬 1960년대 소설 가운데 한 편의 작품을 선택하여 읽고, 다음 내용을 반드시 포함하여 과제물을 작성하시오.
1. 해당 작품에 드러나는 1960년대 사회상(社會相)과 문화적 특징
2. 해당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
3. 소설을 읽은 전체적인 감상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광장>에 드러나는 1960년대 사회상과 문화적 특징
1) 전후의 이데올로기
2) 식민주의의 잔해
3)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2. <광장>의 문학사적 의의
1) 내용적 측면
2) 문학사적 측면
Ⅲ. 결론 및 감상
본문내용
Ⅰ. 서론
6 ·25 전쟁으로 한국 민족이 입은 정신적 상처는 60년대에 이르러서도 쉽게 잊을 수 없는 체험으로 남아 있었다. 이에 따라 1960년대에도 작가들은 분단으로 인한 아픔과 이념적 대립을 그려낸 분단문학을 계속해서 내어냈다. 그 중에서도 <광장>은 당대의 사회와 개인의 고뇌를 잘 담아내면서도, 다른 작품들과는 차별화되는 면모들을 보인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광장>이 표방하는 1960년대의 모습과 <광장>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 소설에 대한 필자의 감상으로 마무리 짓고자 한다.
Ⅱ. 본론
1. <광장>에 드러나는 1960년대 사회상과 문화적 특징
1) 전후의 이데올로기
우선, <광장>은 이명준이 남한과 북한을 오가면서 각 나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그의 생각을 소설에 담음으로써 남북 분단 이후 계속되었던 이데올로기의 대립을 보여준다.
이명준은 공산주의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직시하고 비관하는 인물이다. 우선, 그는 남한에 있으면서 남한의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과 부패한 현실에 대해 비관한다. “개인만 있고 국민은 없습니다. 밀실만 푸짐하고 광장은 죽었습니다.
라며, 이기주의와 개인주의로 얼룩져 있고 권력을 장악하는 것에 함몰된 남한 사회에 회의를 느낀다. 그리고 새로운 광장이 열려있을 북한의 모습을 기대하며 북한으로 도망친다.
그러나 이명준이 맞닥뜨린 북한은 그가 꿈꿔온 사회주의 혁명 국가가 아니었다. “명준이 북녘에서 만난 것은 잿빛 공화국이었다. 이 만주의 저녁 노을처럼 핏빛으로 타면서, 나라의 팔자를 고치는 들뜸 속에 살고 있는 공화국이 아니었다.
참고 자료
최인훈, <광장/구운몽>, 문학과지성사, 67면.
박성창,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박성창]<1>광장-최인훈’, 동아일보, 2005.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