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 2장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최저임금과 관련해 최저임금의 적정 수준은 얼마일지에 대해 생각해 보시오. 그리고 그렇게 생각하는 근거에 대해 서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1.03.20
- 최종 저작일
- 2020.03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과제정보
학과 |
교양과목 |
학년 |
공통 |
과목명 |
사회문제론 |
자료 |
51건
|
B형 |
교재 2장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최저임금과 관련해 최저임금의 적정 수준은 얼마일지에 대해 생각해 보시오. 그리고 그렇게 생각하는 근거에 대해 서술하시오.(30점)
교재 2장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최저임금과 관련해 최저임금의 적정 수준은 얼마일지에 대해 생각해 보시오. 그리고 그렇게 생각하는 근거에 대해 서술하시오.(30점)
|
소개글
"교재 2장의 내용을 참조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최저임금과 관련해 최저임금의 적정 수준은 얼마일지에 대해 생각해 보시오. 그리고 그렇게 생각하는 근거에 대해 서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최저임금의 개념
2) 우리나라의 최저 임금제 논란
3) 최저 임금의 적정 수준과 근거 및 나의 제언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재인 대통령은 2020년까지 최저임금을 1만원 인상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고 현재 2020년 최저임금은 8,590원으로 결정되었다.
매년 최저임금 결정 시기가 되면 경영계와 노동계는 이를 두고 설전을 벌인다. 각자의 이득 및 입장에 따라 최저임금 인상을 주장하기도 하고, 반대로 최저 임금 동결을 주장하기도 한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최저임금의 의미와 도입 배경에 대해 알아보며 우리나라에서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찬반 논리에 대해 알아보고 적정 수준과 근거를 알아보려 한다.
Ⅱ. 본론
1. 최저 임금의 개념
1) 도입 배경 및 정의
최저 임금제도는 산업혁명 이 후 장시간 노동과 저임금 그리고 아동 노동 등의 심각한 노동 착취 문제로부터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근로기준 관련 제도의 일환으로 도입되었다.
최저 임금이란 ‘근로자에 대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보장하여 근로자의 생활 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기하기 위하여 제정된 법률(1986.12.31. 법률 제 3927호)’를 말한다.
참고 자료
구도완 외 14인. 2017. 한국 사회 문제. 방송통신대학교
김태훈. 2019. 최저임금 인상의 고용 및 임금효과. 노동정책연구, 19(2), 135-174
이종만. 2016. 최저임금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최저임금 수준과 결정 방식을 중심으로. 방송통신대학교.
황성웅. 2019. 2018년 최저임금이 고용감소를 초래했는가?:비판적 재검토.한국경제발전학회
송명진. 2019. 2020년 최저임금 협상 경과와 평가, 4-7.
민주노총.2018. 2019년 적용 최저임금 노동계 1차 요구안
김세진, 2010, 센터 상임활동가, 2020년 최저임금 어떻게 결정됐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