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대 컴퓨터과학과 JSP프로그래밍 짝수학번 기말평가(만점)
- 최초 등록일
- 2021.01.02
- 최종 저작일
- 2020.1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1번(2장 개발환경 설정하기).
톰캣을 설치 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브라우저에 입력하는 주소와
개발이 끝난 웹 프로젝트를 톰캣에 배포할 때 war파일를 위치시키는 폴더 경로는?
① http://localhost, 톰캣설치폴더\WebContent\WEB-INF
② http://127.0.0.1, 톰캣설치폴더\webapps
③ http://localhost/tomcat, 톰캣설치폴더\WebContent\WEB-INF
④ http://127.0.0.1/tomcat, 톰캣설치폴더\webapps
<정답> ②
<해설> 참고자료 47p, 워크북 2장 8번 문제
정상적인 톰캣 가동의 경우 http://localhost or http://127.0.0.1을 입력하여 확인한다.
웹 프로젝트는 ‘톰캣설치폴더\webapps’에 war파일이나 서브 폴더로 존재해야 한다.
2번(4장 JSP 동작 원리).
아래 그림은 JSP 동작 단계를 나타낸 그림이다. 설명이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 jsp 파일이 처음 요청된 것이 아니면 번호3.에서 jsp파일을 파싱한다.
② 번호4.에서 jsp파일을 서블릿이라는 자바파일을 생성한다.
③ 번호5.에서 실행 가능한 클래스 파일로 컴파일된다.
④ 번호6.에서 매번 요청이 있을 때마다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되는 것은 아니다.
<정답> ①
<해설> 참고자료 72~73p, ① 해당 jsp파일이 처음 요청된 것이라면 jsp파일을 파싱하고, 이전에 요청된 것이면 번호6.의 단계로 건너뛴다. jsp파일을 실행하기 위해 클래스파일로 변환이 되는데 이 과정은 jsp파일이 처음으로 호출되었을 때에만 거친다. ④ 매번 요청이 있을 때마다 메모리에 적재 되는 것이 아니며, 서블릿 파일이 생성된 후 컴파일되어 메모리에 적재되면(객체 생성) 매번 요청이 해당 서블릿으로 들어올 때마다 스레드 기반 하 작은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여려 개의 동시 요청을 처리하게 된다.
참고 자료
JSPStudy의 JSP&Suervlet 웹 프로그래밍 입문+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