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돌봄과 육아문제에 대한 문제 및 해결"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I. 서 론1) 한국사회에서의 돌봄과 육아
① 돌봄과 육아를 둘러싼 국내 상황
II. 본 론
① 돌봄 및 육아 최근 동향
② 돌봄과 육아를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
③ 사회문제로서의 중요성
④ 다른 사회문제와의 연관성
III. 결 론
1) 사회 문제로서의 해결책
① 돌봄에 대한 두 가지 사회적 책임
② 사회를 돌봄의 관계로 재조직하기 위해
③일-생활 균형과 돌봄의 남녀공유가 가능한 사회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 론1) 한국사회에서의 돌봄과 육아
① 돌봄과 육아를 둘러싼 국내 상황
최근 충남 천안에서 9세 남아가 가방에 갇혀 사망하거나 경남 창녕에서 학대받던 9세 여아가 탈출하는 등 아동학대 사례가 잇따르자 정부가 가정양육 중인 만3세 아동을 전수조사하고 방임 의심사례를 선별해 점검하기로 했다. 아동학대가 발생하면 즉시 부모 또는 보호자와 즉시 분리하는 등의 근본적인 대책을 범부처 차원에서 마련해 오는 8월 말까지 발표할 계획이다.
<중 략>
II. 본 론
① 돌봄 및 육아 최근 동향
최근 코로나로 인한 장기화로 학교와 보육시설, 복지관 등의 일상적인 운영이 어려워지면서 한국사회에서 돌봄을 주로 담당해오던 여성들의 삶 또한 막다른 골목에 이르고 있다. 직장과 가정 일을 모두 병행해야 하는 워킹맘, 전업육아와 '엄가다'(엄마표 노가다)로 자녀 교육까지 해내야 하는 주부, 생계와 양육을 동시에 책임져야 하는 한부모 모두 막막하다. 학교의 긴급돌봄 운영체계를 모두 떠맡은 돌봄교실, 돌봄전담사들은 소득이 끊긴 방과 후 교사보다는 나은 상황이라고 스스로를 위로해야 할 지경이다. 방문요양보호사나 간병인들은 이들의 노동이 없으면 혼자서 식사도 어려운 사람들을 돌보러 가지만, 방역관련 정보나 물품지원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해고당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심각해지자 정부도 2월부터 긴급돌봄을 지원하겠다고 나섰다. 기업에 재택근무나 시차 출퇴근과 같은 유연근무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달라고 권장했고, 유아 및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긴급돌봄학교, 가족돌봄휴가에 대한 유급 지원, 아이돌봄쿠폰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부족할지라도 정부 지원 등을 통해 버티면서 학교가 개학하고 나면 지금의 돌봄 문제도 자연스럽게 해결될까? 이 모든 문제가 코로나19 때문일까? 아니면 코로나와는 별도로 여성의 위기가 되었을까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박휴용, 여영기 (2014). 한국의 저출산 현상의 원인과 유아교육보육 정책의 방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85, 69-95한지영 (2016). 보편적 돌봄권 확보를 위한 현행 육아휴직제도 개선방안. 이화젠더법학,8(1), 153-183
박창우 (2018). 결혼, 출산, 육아에 관한 여대생의 주관적 인식 유형. 비판사회정책(59),265-295
김경미 (2019). 델파이조사를 활용한 육아종합지원센터 양육지원 사업 평가지표 개발. 한국영유아보육학, 119, 27-51
김유리, 김은정 (2015). 가족돌봄지원 정책의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89-190
윤수린 (2019). 유자녀 여성의 숙련 수준에 육아정책, 노동정책,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이 미치는 영향: OECD PIAAC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53(4), 45-87.
몽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코로나19, 왜 여성의 위기가 되었나. [인권으로 읽는 세상] 돌봄의 사회적 책임을 묻는다, 2020-05-16
송다영(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일-생활 균형과 돌봄의 남녀공유가 가능한 사회를 위하여, 2018-05-11
"한국사회문제" 최신 자료
한국사회의 성차별과 불평등 9페이지
한국 사회 문제 6페이지
한국 사회에서 노년의 삶이 사회문제로서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할 이유는 무엇이며, 사회가 함께 해 나갈 수 있는 노력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면서 논하시오. 6페이지
한국방통대/한국사회에서 환경문제가 나타나는 양상을 서술하되, 사회적으로 다른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주의하면서 사회문제로서 환경문제를 풀어간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지 논하시오. 7페이지
한국 사회에서 노년의 삶이 사회문제로서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할 이유는 무엇이며, 사회가 함께 해 나갈 수 있는 노력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면서 논하시오.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