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고위험모아 간호학 중간고사 기출 이론정리
- 최초 등록일
- 2020.11.17
- 최종 저작일
- 2019.01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고위험 임신 특성과 예방
2. 고위험 임신간호
3. 태아의 건강사정
4. 고위험 분만 및 출산간호
5. 고위험 산모간호
6. 아동의 입원 및 만성 질환
7. 중환아간호
8. 고위험 신생아간호
9. 호흡장애 아동의 간호
10. 소화흡수 및 배설장애 아동의 간호
11. 신기능장애 아동의 간호
12. 심혈관기능장애 아동의 간호
13. 뇌기능장애 아동의 간호
14. 종양 아동의 간호
15. 아동 호스피스
본문내용
1장. 고위험 임신 특성과 예방
*고위험 임신 : 산모나 태아가 사망 또는 질병에 이환될 확률이 높은 경우이거나 분만 전후 합병증이 정상임신보다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 처한 임신상태.
-수정후 10주간 : 기형 발생의 위험성이 가장 높은 시기이므로 가능한 한 약물의 투여를 피해야함.
: 임신 중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치료하는 약물은 지속적으로 투여.
*불임 : 피임을 하지 않고 규칙적인 성교를 한 지 1년이 지나도록 임신이 안되거나 임신을 만삭까지 유지할수 없는 경우.
-남성 : 정액검사(검사전 24~48시간 전까지 성교를 하지 않는다 정상 : mL당 2억 개이상, 전체 정자의 50%이상 움직이면 정자. 정액을 받은후 1~2시간 내에 검사실로 보낸다.), 남성의 신체검진
-여성 : 병력 청취, 이학적 검사,
*임신중 약물사용에 대해 FDA가 제시한 분류기준
-A : 태아에 해를 주는 것과 거리가 먼 경우
-B : 임신 초기의 여성에서 증명이 안된 경우 (임신 말기 위험의 증거는 없음)
-C : 동물실험에서 태아에 유해한 영향을 나타냈으나 인체에 대한 실험결과는 없는 약물. 또는 인체나 동물에서의 연구가 아직 없는 약물
-D : 약물 사용의 유익성이 잠재적 위험성을 상회할 수 있지만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이나 중증 질환에 사용이 필요한 경우.
-X : 임신중 투여 금기.
*임심의 생리적 반응
-질 : 체드윅 징후 (질의 피부와 근육의 혈관분포 증가로 자색으로 변하고 부드러워짐.) 임신 6주
질분비물의 색이 희어지며 유산간균(락토바실러스)의 활동 증가
-자궁경부 : 굿델 징후 : 자궁 경부가 부드러워짐. 임신8주.
mucous plug 형성 : 자궁경관 통로에 점액이 rkemer 차서 점액전을 형성
-자궁 : 헤가징후 : 자궁 협부의 길이가 2.5cm 으로 증가하여 부드러워짐. 임신 7주
자궁의 크기 증가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