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통신대 생산관리 과제물
- 최초 등록일
- 2020.03.31
- 최종 저작일
- 2018.04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3,000원

과제정보
학과 |
경영학과, 통계·데이터과학과 |
학년 |
4학년 |
과목명 |
생산관리 |
자료 |
14건
|
공통 |
공통부품을 사용하는 경우의 MRP 작성방식을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수치적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1) 기초재고 및 기말필요재고가 없는 경우
(2) 기초재고가 있는 경우 (기말필요재고는 없음)
공통부품을 사용하는 경우의 MRP 작성방식을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수치적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1) 기초재고 및 기말필요재고가 없는 경우
(2) 기초재고가 있는 경우 (기말필요재고는 없음)
|
소개글
만점 받은 과제물 !!
목차
없음
본문내용
MRP(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는 생산일정계획, 부품 또는 반제품의 소요량 및 조달기간, 재고현황 등을 고려하여 언제, 얼마만큼의 부품 또는 반제품을 주문 또는 자체생산해 나갈 것인지를 계획하는 것이다. 어떤 자재가(What), 언제(When), 얼마만큼(How Much) 필요한지를 계산해 낸다.
MRP의 목적은 적시, 적소, 적량을 조달하는 것이다. 이것은 납기주수와 비용절감의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추구한다.
또 MRP는 아래와 같은 가정하에서 수립된다.
첫째, 모든 자재의 조달기간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모든 물품은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모든 조립구성품목은 조립착수시점에 사용 가능해야 한다.
넷째, 제조공정이 독립적이어야 한다.
MRP를 수행하기 위한 4가지 필수 정보
- MPS(기준생산계획)
- *BOM(자재명세서 : Bill of Material)
- Routing(제조공정도)
- IR(재고 레코드 : Inventory Record)
* BOM 역할 : 모든 품목을 만드는데 필요한 모든 조립, 반조립품, 구성품, 부품 혹은 원자재의 목록으로 모품목을 위해 각각 필요한 수량을 보여줌. MPS와 연계하여 구매요청 혹은 생산오더의 발행이 필요한 품목을 결정하는데 사용됨.
참고 자료
생산관리(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생산관리" 최신 자료
[생산관리-공통] ERP의 (1)구조, (2)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3)시스템의 선정방식을 논하시오. 5페이지
[생산관리 공통] ERP의 (1) 구조, (2)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3) 시스템의 선정방식을 논하시오. 12페이지
[생산관리 공통] ERP의 (1) 구조, (2)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3) 시스템의 선정방식을 논하시오. 14페이지
[생산관리 공통] ERP의 (1) 구조, (2)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3) 시스템의 선정방식을 논하시오. 13페이지
[생산관리 공통] ERP의 (1) 구조, (2)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3) 시스템의 선정방식을 논하시오. 1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