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문화와예술 공통) (1) 다문화 사회 프랑스의 어두운 모습 : 영화 <디바인스 Divines> (2016)를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19.03.11
- 최종 저작일
- 2019.03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과제정보
학과 |
프랑스언어문화학과 |
학년 |
4학년 |
과목명 |
프랑스문화와예술 |
자료 |
2건
|
공통 |
아래 제시된 주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논하시오.
(1) 다문화 사회 프랑스의 어두운 모습 : 영화 <디바인스 Divines> (2016)를 중심으로
(2) 영화 <컬러풀 웨딩즈>(2014)를 통해 보는 오늘날의 프랑스인
영화 <디바인스 Div... 더보기
아래 제시된 주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논하시오.
(1) 다문화 사회 프랑스의 어두운 모습 : 영화 <디바인스 Divines> (2016)를 중심으로
(2) 영화 <컬러풀 웨딩즈>(2014)를 통해 보는 오늘날의 프랑스인
영화 <디바인스 Divines>은 넷플릭스Netflix에서 감상이 가능하며, <컬러풀 웨딩즈>는 네이버 다시보기에서 다운로드(1000원) 서비스로 감상이 가능합니다. 접기
|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프랑스 이민의 역사적 배경
2. 프랑스 다문화 정책과 갈등
3. 다문화 사회 프랑스의 어두운 모습
1) 고용의 배제
2) 교육의 배제
3) 주거의 배제
4. 영화 <디바인스 Divines> (2016)
5. 현재 프랑스의 다문화 통합정책
1) 노동시장 접근성
2) 가족재결합
3) 교육
4) 정치적 참여
5) 장기체류허가
6) 국적취득
7) 차별금지
6. 시사점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프랑스의 동화정책은 프랑스 혁명의 사상적 배경이 된 자연법사상과 계몽주의의 인간관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계몽주의와 자연법사상은 만민이 평등하다는 인류평등사상(egalitarianism)에 의거한 것으로 인간은 모두가 평등하게 태어나지만 교육과 환경의 차이에 의하며 신분의 차이가 나는데, 인간 모두가 보편적 이성을 지니고 있기에 교육에 의하여 보편적 진리와 자연법을 깨달을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즉, 프랑스혁명과 인권선언의 기초가 된 계몽주의와 자연법사상에서 진리는 보편적인 것으로 이민족도 인간인 이상 프랑스인과 같은 이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육으로 개조하여 유일보편의 문명으로 이끌 수 있다는 동화주의에 의거한 철학에 근거한 것이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다문화 사회 프랑스의 어두운 모습에 대해 영화 <디바인스 Divines> (2016)를 중심으로 서술해 보겠다.
Ⅱ. 본론
1. 프랑스 이민의 역사적 배경
프랑스는 19세기 때부터 이민자를 받아들이기 시작하였는데 188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100년 동안 출생한 프랑스인 가운데 1, 800만 명이 제1, 제2, 제3세대 이민자의 자손이라는 통계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프랑스가 다민족 사회라는 것은 자명하다.
프랑스로의 이민 물결이 시작된 것은 자유, 평등, 박애라는 이념을 내세운 프랑스대혁명이 일어난 후 인데, 정치적인 망명으로 인한 이민이 많아졌다. 이러한 정치적 이민은 프랑스의 이민의 역사에 있어서 그리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것은 아니다. 프랑스로의 이민의 대부분은 경제적인 이민인데 산업혁명을 계기로 하여 프랑스와 인접한 유럽국가들로부터의 이민이 일어났고, 1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하여 프랑스 내의 노동력 부족과 전쟁으로 인해 피폐해진 사회의 재건을 위해 경제적 이민자들을 대폭 받아들이게 되었고 북아프리카 등의 프랑스의 식민지로 있었던 국가에서의 경제적 이민이 급속하게 늘어나기 시작했다.
참고 자료
영화 <디바인스 Divines> (2016)
엄한진(2011), 『다문화 사회론』, 소화, 2011.
이종렬. 2008. 「다문화정책과 민주주의」. 한국행정학회.
최종렬 외(2008).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패러다임과 국가별 유형비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우평균(2008), 「다문화 공생사회에서의 국적 개념의 의의와 각국의 정책.
유길상 등(2005), 「이민정책에 관한 연구」, 대통령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이가야(2009), 「프랑스의 다문화사회 : 동화에서 통합으로」, 『프랑스문화 예술연구.
김민정, 2007, “프랑스 이민자정책 :공화주의적 동화정책의 성공과 실패”, 세계지역연구논총, 한국세계지역학회.
김남국, 2010, “다문화의 도전과 사회통합 : 영국, 프랑스, 미국 비교연구”, 유럽연구, 한국유럽학회.
김향숙, 2012, “유럽 사회와 무슬림 이주민간의 갈등과 다문화주의의 위기 : 영국과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