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평생교육의 추진체제 및 지원체제의 현황과 특징
- 최초 등록일
- 2018.07.11
- 최종 저작일
- 2018.06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평생교육 이수과목 중 하나인 평생교육 경영론 과제입니다.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추진체제 및 지원체제의 현황과 특징 관련 과제물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역사
고영상(2016) 한국 교육소관부처의 평생교육 예산 추이 분석 - 세출예산현액을 중심으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제도정책연구실 연구자료)
은 예산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역사를 살펴보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자료에서는 크게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을 크게 잠복기(1961년~1970년), 태동기(1971년~1996년), 형성기(1997년~2006년), 평생·직업교육기(2007년~2015년)으로 나누었다. 관련 자료를 살펴보면, 처음에 평생교육은 사회교육으로 시작하였으며, 이후에 형성기에 비로소 ‘평생교육’이라는 명칭이 나타난다. 또 평생교육이 발달하면서 그 발전 주기가 짧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평생교육이 자리를 잡고 발전하는 기간인 평생·직업교육기를 자세하게 나누어 살펴보면, 2007년을 전환기로 하여 2008년~2011년까지 평생학습체제와 직업교육체제 이격기가 이어진다. 이 시기에 평생교육은 직업교육과 분리었다가 이후 2012년~2015년에는 평생교육 확대 및 순환교육체제 도입기로 들어서는데 평생·직업교육체제구축으로 합쳐져서 예산 항이 생겼고, 세항으로 평생학습 기반 구축, 평생학습 활성화지원, 평생교육진흥원 출연, 평생학습 통합 시스템 구축 등이 나타나 이때부터 우리나라 평생교육 추진체제를 갖추어 나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교육부가 제시한 교육수준(학제)과 평생교육 제도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표 그림 중략>
평생직업교육 체제 구축을 위해서 크게 평생학습 기반 구축, 평생학습 활성화 지원, 평생교육진흥원 출연,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평생학습 기반 구축은 세부적인 사업 내용을 살펴보면 평생학습의 시스템 관리, 평생학습에 대한 인식 개선 및 홍보 활동으로 평생교육 추진의 기반을 다지는 것으로 보인다. 먼저 평생학습 기반 구축에서는 크게 평생학습 진흥 지원, 국가 평생교육 통계 구축, 평생교육 바우처 지원, 평생교육 검정고시 지원을 세부적인 사업으로 들고 있는데, 이때 평생학습 진흥 지원을 위해서는 평생학습계좌제 운영, 평생교육사 제도 운영 및 연수, 대한민국 평생학습박람회를 계획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