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학과 / 요점 정리] 현대시명작읽기 과목 시험 대비 필기 요약 정리
- 최초 등록일
- 2024.03.01
- 최종 저작일
- 2013.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국어국문학과 현대시명작읽기 과목을 공부할 당시 시험을 대비하여 필기 내용을 한글 파일로 요약 정리한 내용입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도종환, 접시꽃 당신
- 접시꽃 = 아내
- 담벼락을 껴안은 것만 같은 = 포용적 연약함
- 아내의 죽음을 지켜보는 남편의 감정을 담담한 고백조로 절제하며 표현
- 초반부 : 불치병에 걸린 아내의 상황과 곁에서 그런 아내를 바라보는 화자의 암담한 심정
- 중반부 다가오는 아내의 죽음으로 인한 시인의 절망감의 심화
- 후반부 아내의 죽음에 대한 절망감에서 서서히 벗어남, 닥쳐온 불행한 현실을 수용하고 인정하고자 하는 의지
- 주변의 고통 받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그들을 위해 희생하겠다는 다짐
- 죽음을 초월한 영원한 사랑을 다짐하고 있다
- 아내의 죽음을 통해 느낀 삶의 소중함
문병란, 직녀에게
- 전래설화 견우와 직녀 이야기
- 견우가 은하수 넘어 직녀에게 보내는 내용
- 전래설화와 맞지 않는 부분도 있음
- 초반 : 이별의 슬픔과 그리움
후반 : 고통을 극복해 내려는 의지
- 개인적 : 연애시 / 사랑을 잃어버린 연인
사회적 : 정의, 자유, 인권, 통일 등을 향한 열망 / 자유, 민주, 정의를 잃어버린 삶
- 설화를 변용하여 더 극적으로 표현
이별의 슬픔과 극복 의지
기형도, 빈집
-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무용수라면 추네, 술꾼이었으면 마시네, 시인이었기에 쓰네
- 사물들의 풍경에 작별을 고함 : 순수함, 방황, 망설임, 열망 등
- 문을 잠그고 나옴으로써 형식의 완결성 추구
- 잠근다, 갇히다 : 소통의 단절 - 이별
- ‘빈집’ = 연인과 나누었던 지난날의 추억을 가두는 공간으로 사랑의 추억과 열망을 상실한 화자의 공허한 내면을 상징
- 이별의 아픔을 담담한 추억의 어조를 통해 객관화, 애틋한 비장미
- 2연 = 사랑이 떠나갔기에 함께 했던 추억들과 추억을 담고 있는 모든 것들을 정리
- 시적 화자가 문을 잠그는 방향이 모호하게 표현되어 있어 독자들에게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