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가고시 아동간호학 준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NEC(괴사성 장염)
● 원인 : 장의 허혈, 미성숙한 위장계 방어능력, 박테리아 증식 등(premature에 흔함)
● 증상 : 복부팽만, 혈변, 담즙 섞인 구토물, 위정체
● 진단 : 방사선 검사상 두꺼워진 장벽과 팽창된 장, 장 파열 나타남, 대사성 산증, 전해질 불균형
● 치료적 관리 : 예방이 중요, 24~48시간 구강수유 중단, 비위관 감압 유지, IV, anti, 위장관 파열 시 절제술과 문합술 시행
● 간호중재 : V/S, 복부팽만 모니터링으로 조기발견, 복부 압력 감소를 위해 기저귀 채우지 않고 앙와위나 측위
▶ 선천성 거대결장
● 원인 : 결장과 직장에 신경절세포의 부재, 선천성 장애
● 증상 : 태변 배출 지연, 변비, 복통, 복부팽만, 구토, 성장 장애, 리본 모양 대변, 대변 덩어리 촉지
● 진단 : 직장검사, 바륨관장, 단순복부 촬영, rectal bx
● 간호중재 : OP준비(등장성 식염수 관장, 금식), 영양과 수분상태 유지, 장음청취, 저잔여식이, 변비 해소
▶ 비대유문협착증
● 증상
- 수유 직후 담즙을 포함하지 않은 분출성 구토, 구토 후 배고파서 안절부절못함.
- RUQ에서 올리브 형태 덩어리 or 제대 오른쪽 위쪽에서 촉진(RUQ)
- 대사성 알칼리증(HCl 및 K 손실 때문)
- wt 감소, 탈수 및 농축된 소변(요비중 증가), 변비가 나타남
● 치료
- 구토 시 NG tube 삽입으로 감압. 유문근 절개술
● 간호중재
- pre OP : 흡인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침상머리 올려줌, NG tube 개방
- post OP : 경구 전해질 용액으로 소량씩 시작하여 양을 늘림
▶ 기관식도루
● 증상 : 거품 있는 타액 방출, 3Cs(기침, 수유 시 질식, 청색증)
● 수술 전 간호
- 앙와위, 침상머리 높임, 따뜻한 체온 유지, 산소 공급
- 5~10분마다 NG tube로 흡인, 경구섭취 중지, IV
● 수술 후 간호
- 호흡상태 관찰, 수액유형과 영양지지, 체온조절 유지, 통증완화, 수술부위 감염예방
- 부모와 결속 증진, 위루관 사용 시 인공젖꼭지 물려 빨기 욕구 충족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