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년기 발표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Ⅰ. 노년기제1절 신체적 발달
1. 신체의 구조
2. 신체내부기능의 변화
제2절 심리적 발달
1. 감각기능
2. 인지 및 정신기능
3. 자아통합과 죽음
4. 정서 및 성격단계
제 3절 사회적 발달
1. 사회적 관계망과의 상호작용
2. 사회화
3. 사회적 지위와 역할
4. 은퇴
제 4절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심영역
1. 신체적 발달의 관심영역
2. 심리적 발달의 관심영역
3. 사회적 발달의 관심영역
Ⅱ. 노년기의 경제적 문제
(1) 노년기의 생활 자금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1. 노인의 소득원 유형을 살펴보면
2. 노인의 소득현황
3. 노년기의 경제적 사정의 악화 원인
(2) 퇴직제도
1. 퇴직의 개념
2. 퇴직의 요인
3. Atchley의 퇴직생활의 7단계
4. 퇴직의 영향
5. 퇴직생활에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 퇴직준비 프로그램
7. 정년제
8. 정년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3) 결
Ⅲ. 퇴직 후의 노년기의 직업
1. 고령자의 취업 적합 직종
2. 고령자 사회봉사활동의 참여확대
3. 퇴직자의 마음가짐과 준비들
4. 취업정보 알선기관
5. 본인의 한마디
참고문헌
본문내용
♣노인 ; 정상적인 인간의 일생에서 마지막 단계로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노화 (Aging) 과정을 겪고 있는 사람이다. 노인복지법에는 65세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로 규정하고 있다.※ 노년기에 대해 일치된 정의는 내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생물학을 비롯해 사망률과 유병률(有病率)의 상태를 말하는 인구학, 고용과 퇴직, 그리고 사회학 등 분야마다 각 각 상이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통계 및 공공행정의 편의를 위해 대부분 60 세 나 65세 이상의 연령층을 노년기로 규정한다.
♣ 역연령(chronological age) 을 세단계로 분류 (Atchley,2000)
① 연소노인(young-old); 대부분은 일을 할 수 있으며 돈버는 능력과 사회적 승인이 최고 조에 달해 있을 때이고, (뉴가르텐(Neugarten)은, 55~65세, 애 칠리(Atchley, 1988)는 60~74세)
② 중노인(middle-old); 대부분의 퇴직자들이며,(뉴;65~75세/애;75~84세)
③ 고령 노인(old-old); 신체적으로 약하고 병약하며 고립되고 궁핍한 계층의 노인들이다.
(뉴;75세이상,/ 애; 85세이상)으로 보아 노인의 개념에 대한 견해도 시대에 따라 바뀌어 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년기에는 퇴행적 발달, 즉 노화(aging)가 이루어진다. 노년기에는 신체적 능력의 쇠퇴 및 질병이환, 사회적 관계의 축소, 사회경제적 지위의 하락 등과 같은 퇴행적 발달, 즉 노화가 주로 일어난다 .따라서 노년기에는 신체변화에 대한 적응, 인생에 대한 평가, 역할 재조정, 여가시간활용, 죽음에 대한 대비 등의 발달과업을 적절히 수행하고, 노후생활에 적합한 생활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제1절 신체적 발달
노년기에 이루어지는 신체적 발달을 생물학적 노화라 하는데 유기체 전반에 일어나는 쇠퇴적 발달현상을 말한다.
참고 자료
고령자고용촉진법[일부개정 2002.12.30 법률 제06849호]참고문헌; 학지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권중돈, 김정배)권중돈,김동배(200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pp199-213
황진수1992 “노인인력의 활용화 정책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논문집. pp39-40
성혜영, 대교 교육 정보 연구소 연구원. 조희선,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부 교수 “노인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김미혜(1993) 노년을 위한 퇴직준비교육 모형의 개발. 한국노년학 13(2). pp 15-29.
김병묵·김욱경·정복철(1998) 평생교육의 현황와 전망에 관한 연구. 행정문제연구 5. pp117-153.
김재인·허현란(1999) 여성노인과 여가교육. 노인복지연구 '99 가을호. pp161-
김제태(1978) 노후생활과 평생교육. 서울: 한국공사
김종서(1982) 노인교육의 교육과정개발. 서울: 대한노인회.
김태현(1994) 노년학. 서울: 교문사. p2.
성규탁·김규식(1988) 한국노인의 안녕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8. pp69-88.
한국교육개발원(2000) 평생교육 종합정보시스템 구축과 지역평생교육정보센터의 역할. 한국교육개발원 평생교육센터 정보지원팀 자료집.
한규량(1998) 한국노인사회의 발전과 전망. 한·중·일 국제학술세미나. p81-96.
실버산업전문가포럼(KAPASS)
서울시 고령자 취업알선센터 상담전화1588-1877 www.noinjob.or.kr 노인취업알 선 센터
정 세 용 논설주간,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강원포럼]퇴직후 삶을 위한 제언 [강원일보 2005-03-02 00:03]
정진완(금빛평생교육자원봉사단도회장, 前인제교육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