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필기시험 요약집 (2019년도)
RN슬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서울대병원 필기시험 요약집 (2019년도)"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기본간호학1) 복부 타진 때 이동 탁음 들리면?
2) 심부건 반사란?
3) 아프가 점수 표 참고
4) 혈압
5) 평균 흡인 압력
6) ABGA 정상범위
7) 약물
8) TDM (Therapeutic Drug Monitoring, 치료약물농도감시)
9) 염화칼륨 KCL을 투여할 땐?
10) 항암제 주입시 일혈이 일어나면?
11) 고칼륨혈증이면?
12) 수혈 시 주의사항 및 간호
13) 감염 경로
14) 간호 기록
15) 억제대 적용
16) 관장
2. 성인 간호학
1) intubation
2) 흉곽천자
3) 항히스타민제 부작용
4) 편도선 절제술
5) ARDS에 다량수액은 폐부종 일으킴
6) COPD 환자 고농도 산소 제공 안하는 이유
7) 투베르쿨린 검사(TST)
8) 결핵약
9) 거품있는 분홍색 객담- 폐부종
10) 건성 늑막염, 습성 늑막염
11) 자연 기흉
12) 심박출량= 1회박출량(SV, stroke volume) × 심박동수(HR)
13) 칼륨 많이 있는 식품
14) 허혈성 심질환 환자→ 우선적으로 EKG 측정
15) NTG 복용 주의사항
16) 협심증
17) 심근경색 흉통 발생하는 이유?
18) 울혈성 심부전 환자 체액량 조절 간호
19) 상대정맥 증후군
20) 심부정맥 증후군
21) GCS 사정
22) 요추천자
23) 뇌막염
24) 척수 손상 환자
25) 파킨슨 병
26) 중증 근무력증
27) ICP 3대 증상
28) 상부 위장관 조영술
29) 십이지장 궤양 vs 위 궤양(소화성 궤양)
30) dumping syndrome
31) 간 문맥성 고혈압→복수, 비장비대, 식도정맥류, 치질
32) 급성 췌장염
33) 간성혼수 위험 있으면 변비예방부터!
34) A형간염 vs B형 간염
35) 장폐색 환자
36) 대장 내시경 검사
37) 치질 절제술
38) 뇌하수체 호르몬
39) 쿠싱증후군 증상
40) 부신피질 호르몬
41) 저혈당
42) 인슐린 작용
43) Thyroidectomy 환자
44) 갑상샘 기능 항진증
45) 인슐린 종류
46)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47) 급성 사구체 신염
48) 전립선암 환자 호르몬요법
49) 동정맥루
50) 혈액투석 시 투석으로 인해 저혈압 발생
51) 신장이식 환자 간호
52) 근력 등급 검사(0~5등급)
53) 류마티스 관절염 vs 골관절염
54) 저퓨린 식이
55) 하지 절단 수술 환자 간호
56) 전신 홍반성 루프스(SLE)
57) 중이염 합병증
58) 메니에르 증후군
59) 화상간호
60) MRI 검사 시 조영제 사용 가능
61) 제세동기 시행 순서
본문내용
. 복부 타진 때 이동 탁음 들리면?복수
일반적인 신체사정: 시진- 촉진- 타진- 청진
복부 신체사정: 시진- 청진- 타진- 촉진
2. 심부건 반사란?
- 근육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해머로 자극을 가하여 반사를 보는 것
- 뇌를 거치지 않고 척수와 말초신경을 통해 반응하는 단일 시냅스 반사
- 0~4+ 단계 : 2+가 정상
- 복부, 각막, 족저 반사는 표재성 반사임
- 이두근 반사, 삼두근 반사, 상완요골근 반사, 슬개골 반사, 아킬레스건 반사
0점
1점
2점
피부색
전신: 창백, 청색
몸통: 붉음
사지: 청색
전신: 붉음
심박수
<100회/분
>100회/분
자극에 대한 반응
얼굴 찡그림
기침 재채기
근육의 긴장도
이완, 늘어짐
사지: 약간 굴곡
활발, 움직임
호흡
느리거나 불규칙
좋음, 잘움
3. 아프가 점수 표 참고
4. 혈압
상지에 비해 하지의 수축기혈압이 10-40mmHg 높은 건 정상
혈압이 높게 나오는 경우
-스트레스 받는 상황( 통증, 불안 두려움)
-교감신경 자극: 심박수, 심박출량 증가, 말초혈관 수축
-cuff가 너무 좁거나 느슨하게 감은 경우
-심장보다 낮은 위치에 내려뜨리고 측정 시
-커프 안에 공기 너무 천천히 뺄 때
혈압이 낮게 나오는 경우
-심장보다 높게 든 팔
-cuff가 팔의 크기에 비해 넓은 경우
-cuff 안 공기 너무 빨리 뺄 때
혈압 측정 시 동정맥루, 유방절제술(림프 순환 방해), 화상, 팔이나 어깨수술 금지!! (이전에 있던 상처는 o.k)
맥박 상승 요인: 급성 통증, 고열, 과다출혈, 갑상선 기능 항진
-Shock 증상: 저혈압, 빈맥, 과호흡, 소변량 감소, 피부 차갑고 축축
-digitalis(강심제): 심장 수축력 증가, 심박동수 감소
-저산소증: 조직 내 산소 요구량 증가(심박동, 호흡수, 혈압 증가)
5. 평균 흡인 압력
유아: 60-80mmHg
소아: 80-100
성인: 100-120
75세 이상: 8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