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육학 요약정리(4.보건교육과정)
- 최초 등록일
- 2022.06.11
- 최종 저작일
- 2020.09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보건교육학 요약정리(4.보건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요구조사 및 분석
2. 보건교육 계획
3. 보건교육 수행
4. 보건교육 평가
본문내용
보건교육과정
➀ 요구조사 및 분석단계
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방법과 매체 및 평가방법을 설정하는 계획 단계
➂ 실제 보건교육이 이루어지는 수행단계
➃ 보건교육의 평가 단계와 다시 새로운 교육을 준비하는 피드백 과정을 거침
- 매회 보건교육활동은 이러한 기본적인 흐름과 절차를 거치게 됨
- WHO의 보건교육전문위원회에서 일련의 보건교육과정에 다음과 같은 지침을 활용하도록 권장
· 보건교육은 전체 보건사업의 일부로서 처음부터 계획되어야 한다.
· 지역사회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 보건교육계획에 주민들이 참여해야 한다.
· 지역사회의 인재와 자원에 관한 실태파악을 하며 지도자를 발견한다.
· 지역개업의 및 공공기관의 협조를 얻도록 한다.
· 작은 범위의 시범사업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확대한다.
· 보건교육은 뚜렷한 목표가 있어야 하며 그 목표달성을 위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
· 모든 보건요원은 보건교육의 실천자가 되어야 한다.
· 보다 효율적인 보건교육 사업수행을 위해 전문가의 자문을 받는다.
· 보건교육에는 예산이 요구되며, 이 예산은 사업의 우선순위에 따라 사용되어야 한다.
· 효과적인 보건사업을 위해 적절한 평가가 따라야 한다.
- 보건교육과정의 PIE(Preparation-Intervention-Evaluation) 모형
1. 요구조사 및 분석
- 조사한 자료의 분석 결과는 보건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는 근거가 됨.
교육 종료 후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