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경북대학교 매스컴과 사회 기말고사 범위 정리
- 최초 등록일
- 2022.05.03
- 최종 저작일
- 2021.11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경북대학교 교양 <매스컴과 사회> 기말고사 범위 정리본입니다
21년도 2학기에 수강했고 에이플 받았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방송의 사회문화적 영향
1. 방송의 사회적 영향
- 2019년도 조사 결과 (전체 6시간 40분)
• 전화: 2시간 (2011: 1시간 13분)
• 컴퓨터: 1시간 9분 (2011: 1시간 16분)
• TV: 3시간 2분 (2011: 3시간 8분)
• 인쇄: 29분 (2011: 53분)
→ 여러 가지 매체가 있지만 TV를 가장 많이 사용. TV의 영향력이 크다
- 뉴스 주요 이용 경로(2019)
• 평균: TV 53.2%, 포털 39.1%, 신문 1.8%
• 20대 10.1% 77.7%
• 30대 25.4% 66.0%
• 40대 49.6% 44.9%
• 50대 68.8% 23.5%
• 60대 89.5% 4.6%
- 개인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TV가 개인의 외로움 감소에 도움, 스트레스 해소, 간접체험, 대리만족, 다른 사람 의 반응을 알 수 있음,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 지 알 수 있음
• 부정적: 가족간의 대화 단절, 시간 낭비, 정보를 얻기 위해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음, 다 른 매체에 대한 접근 다양성 저해, 수동적이고 무비판적이게 됨
- 사회적 영향
• 긍정적: 노인을 비롯한 소외 계층의 친구, 사회 통합, 글로벌 의식 고양, 공통 이야기 거 리 제공
• 부정적: 사고의 획일화, 문화의 획일화, 불안 조장, 공동체 의식 저해
- 디지털 상호작용 메시지의 확산 영향
ex.) SNS, 메신저 서비스, OTT
• 정치/사회적인 참여와 투명성 확대
• 주류(지배) 미디어나 지배 권력이 확대
• 엔터테이먼트 채널 증가, 여론 다양성 축소
• 미디어 이용의 개인화 현상
• 사회문화적 분절화와 파편화
• 새로운 결속과 연대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