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스토리텔링전략 2021-2학기+2021-1학기 기말고사 족보
- 최초 등록일
- 2022.01.01
- 최종 저작일
- 2022.0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이러닝 문화콘텐츠스토리텔링전략(문콘스) 족보입니다. 2021-2학기 최신 기말고사와 2021-1학기 기말고사 내용을 합쳐놓았습니다. 시험문제는 최근 족보와 동일한 문제, 비슷한 유형의 문제가 많이 나오니 이 자료를 참고하시면 시험에서 많은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목차
1. 2021-2학기 문화콘텐츠스토리텔링전략 기말고사
2. 2021-1학기 문화콘텐츠스토리텔링전략 기말고사
본문내용
1. 다음 중 영화 스토리텔링 개발의 전제로 알맞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디지털 기술의 개방적 수용을 통한 CG기술의 표현 방법을 확보해야 한다
2) 공감의 공분모를 제공하되 대중 각자의 수준의 리터러시가 가능한 표현 기제를 수용해야 한다
3) 배우의 시뮬라시옹은 포괄적 스토리텔링 영역화에 배제해야 한다
4) 거점콘텐츠로서의 다양한 장점을 극대화해야 한다
2. 다음 중 애니메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실재에 대한 인식을 반전시키며, 세계에 대한 탐구와 실존에 대한 성찰을 강화한다
2) 실험 애니메이션은 전통적이고 마케팅적 이해에 의해 규정된다
3) 애니메이션은 “생명을 부여하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Animare’에서 유래하였다
4) 프레임 바이 프레임형식으로 직접 움직임의 환상을 만들어간다
3.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이것은 무엇인가?
이것은 장르 내부에 존재하는 진부함과 뻔한 표현, 개념, 생각 등을 나타내는 말이며 진부한 표현이나 고정관념을 뜻하는 프랑스어다. 19세기 말부터 별 생각없이 의례적으로 쓰이는 문구, 기법, 편견, 전형을 의미하며 영화에서는 진부한 장면이나 판에 박은 대화, 상투적 줄거리, 전형적인 수법이나 표현을 나타낸다. 이것이 계속 차용되는 것은 그 안에 사회적 통념이 반영되는 탓이며 학습과 기대의 효과를 통한 향유의 할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클리셰
4. 일본 애니메이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스토리텔링 전략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모두 골라야 정답으로 처리, 부분점수 없음)
1) 치히로와 센, 유바비와 제니바와 같이 양가적 캐릭터를 공존시켜 이야기를 전개한다.
2) 모험담과 성장담 그리고 미션수행담을 결합시켜 일본의 전통문화와 현재 일본의 문제를 시공간적 배경으로 나타냈다
3) 가장 일본적이라는 온천장이라는 공간과 가장 서구적인 유바비의 공간의 결합을 통해 문화적 할인율을 극소화했다
4) 치히로, 하쿠, 보, 가오나시 등의 성장담이 교직하여 나타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