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과 문화유산 중간고사 총정리+서술형 족보
- 최초 등록일
- 2021.09.22
- 최종 저작일
- 2020.05
- 2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중간고사에 출제된 서술형 3문제와 그에 대한 개념 총정리
목차
I. 민속(民俗)이란
II. 문화유산이란
III. 문화재
IV. 구석기시대의 생활상
1. 구석기인들의 식생활
2. 구석기인들의 의생활: 인류는 언제부터 옷을 입었을까?
3. 구석기인들의 주생활
4. 구석기 연구사
V. 신석기시대의 생활상
1. 자연환경
2. 신석기인들의 식생활(특히 고기잡이와 농경이 중요)
3. 신석기인들의 주생활(움 집)
4. 신석기인들의 의생활
VI. 청동기시대의 생활상
1. 계급의 발생과 전쟁
2. 청동기시대의 식생활(벼농사 시작)
VII. 선사시대의 문화유산 - 반구대 암각화
VIII. 삼국시대의 민속과 문화유산
1. 삼국시대의 식생활
2. 삼국시대의 주거
3. 삼국시대의 의복
4. 삼국시대의 축제와 놀이
5. 삼국시대의 상장례
IX. 고려시대의 식생활
1. 쌀 가공음식
2. 콩의 가공식품 – 두부
3. 원 간섭기 이후(1231년부터 원이 고려에 침입30년간) 식생활의 변화– 소주(燒酒:불태운술)
X. 고려시대의 의복 – 목면의 재배
XI. 2021년 1학기 중간고사 서술형
본문내용
1. 민속(民俗)이란
- 민간의 풍속의 줄임말
- folklore 번역한 개념. 영국의 민속학자인 톰스가 1846년 처음 사용
folk(민간 또는 대중) + lore(지식, 지혜) - 민간의 지식
: 민간에 전해지는 전통적인 신앙과 전설, 풍속, 생활양식, 관습, 종교 의례, 미신, 민요, 속담 등을 포괄하는 말로 사용할 것을 제안.
- 1930년대 초 최남선, 송석하, 임석재 등 초기 민속학자들에 의해서 folklore와 같은 개념으로 민속이라는 용어 사용하기 시작
- 우리 조상들이 어떤 삶의 양식을 영위하였는지 이해하는 일은 역사학과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음. 역사학은 문헌 자료나 고고학적 유물 중심으로 학문 체계를 세웠으며 역사의 기록도 지배층의 산물이라는 의미가 강하기 때문에 민족(다수)의 총체적인 생활양식이나 사상을 이해하는 데에 역사학 한계가 있음 -> 지배층(소수)의 산물이기 때문.
- 민족의 다수 구성원인 민중들이 향유하는 문화를 연구하기 위해서 민속학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졌음.
- 역사학: 문헌사료 대상으로 하는 학문
- 민속학: 구비(口碑)=언어 와 생활전승으로 전하는 무기록 전승의 자료를 주 대상으로 하는 학문.
- 민속학은 사람들과 그들의 민속 문화(행위나 물질, 언어를 통해 전승된 문화) 즉 일상생활 방식과 표현 상징체계를 연구하는 학문.
▶ 공통점과 차이점 알아두기
2. 문화유산이란
- 1993년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출간 이후 역사 유적과 유물 문화유산이라는 말로 표현되기 시작
- 문화유산이 포함하는 내용은 매우 광범위함. 역사가 전개되어 온 과정의 소산물 역사적으로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는 역사적 유물도 모두 그 안에 포함
3. 문화재
- 국가 차원에서 법률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어
- 폭 넓은 문화유산 가운데 국가가 의미와 가치를 인정하여 보호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