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육학요약정리
- 최초 등록일
- 2021.02.05
- 최종 저작일
- 2020.07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교육과 보건교육
1) 1장 교육의 이해
2) 2장 보건교육의 이해
2. 보건교육의 실제
1) 3장 보건교육과정
본문내용
제 1절 교육의 기초
1. 교육의 개념
1) 교육의 정의
교육이란 ‘각자의 잠재능력과 소질에 따라서 탁월하게 자라날 수 있게 하는 작업’으로 말로 교훈하며 이끄는 것이다(강선보·신창호, 2009).
2) 교육의 기본요소
(1) 교육자
(2) 학습자
(3) 학습내용
(4) 교육환경
3) 교육목적의 변화과정
- 우리나라 교육 -
(1) 원시시대 : 실생활과 직결된 것을 가르치고, 자신과 부족의 생존을 위한 기술과 지식을 배움
(2) 고구려 : 중국문화의 영향으로
태학 - 상류계층의 귀족자제를 관리로 양성(충효의 유교사상, 오경, 삼사)
경당 - 일반 서민자제와 지방 호족의 미혼 자제에게 독서와 습사(習射)를 함께 가르치는 문무일치의 교육
(3) 백제 : 박사 – 유학의 경전에 정통한 학자로서 가르치는 것이 주 임무
(4) 신라 : 화랑도는 대자연을 교육도장으로 도의를 연마하고, 시와 노래를 즐기고, 산수를 즐기는 것으로 인물 본위 인재등용제도
(5) 고려 : 국자감(國子監)을 창설하여 유교식 교육을 실시
(6) 조선 : 숭유사상(崇儒思想)을 철학화하고 보편화하여 일부 귀족계급을 위한 관리양성에 주력하고 배우는 사람의 목적도 과거에 급제하여 고급관리로 입신양명하는데 있음.
(7) 일제 : 한국에서의 교육정책을 조선교육령 중심으로 시행
네 차례에 걸쳐 한국 민족의 우민화 정책, 문화적 회유 정책, 전쟁을 위한 교육과 황국 식민화 정책을 실시함, 1948년 8월 15일 광복 이후 정부수립과 함께 지속적으로 민주주의 교육방향으로 추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