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자해상담
- 최초 등록일
- 2021.01.18
- 최종 저작일
- 2021.01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청소년 자해상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제1장. 청소년 자해의 개념과 특성
2. 제2장. 청소년 자해의 원인
3. 제5장. 청소년 자해 진단 및 평가
4. 제8장. 창소년 자해개입 전략
5. 제9장. 발달단계별 청소년 자살·자해 특성 및 상담개입
6. 제10장. 청소년 자해 부모상담 및 상담사례 지도
7. 제11장. 자해 청소년 상담에서의 상담자 태도와 윤리
본문내용
1. DSM-5에서 비자살적 자해를 정의하기 전까지는 충동조절장애로 주로 정의해 왔다.
2. 자해와 자살을 구분하는 가장 큰 특징은 자살의도로, 자살의도의 유무에 따라 자해는 비자살적 자해와 자살적 자해로 구분된다.
3. 자살시도란 잠재적으로 죽을 의도가 있는 자해행동이다. 그런데 자살시도를 했다고 보고한 사람 중 상당수가 실제로 반드시 죽어야겠다는 의도가 없는 경우도 있다. 즉, 자살시도자 중 실제로 죽어야겠다는 강한 의지로 자살시도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비자살적 자해로 구분되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살의도'를 갖고 자해를 했다고 보고해도 실제로 죽으려는 의도가 있었는지 없었는지 '자살의도'에 대한 평가를 객관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4. 비자살적 자해는 신체조직에 직접적으로 상처를 입히는 것이다. 이 점이 바로 섭식장애나 약물남용과 다른 점이다. 섭식장애나 약물남용도 스스로 신체에 해를 끼친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신체조직에 상처를 입히지 않는다는 점에서 섭식장애나 약물남용은 자해라고 볼 수 없다.
5. "자해 같은 거는 죽고 싶어서 했다기보다는 내가 너무 미울 때 많이 했어요. 그러니까 내가 왜 누군가에게 화를 내고 나면은 '왜 이런 화를 내가 냈지? 왜 나는 이 화도 못 참지?' 하면은 내가 너무 미운 거예요." "어떻게 보면 약간 못됐는데 내가 이만큼 힘들다는 걸 약간 표현하기 위한 수단? 솔직히 그때 당시 부모님 다툰 것 때문에 그런 게 많아요. 약간 부모님한테 살짝……. 그러니까 이만큼 힘들다는 것, 부모님이 내 상황의 심각성을 좀 알아봐 주시면 좋겠어요.“
6. 일반적으로 내담자의 자기보고에 주로 의존하여 자살의도를 판단한다. 이런 측면에서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자해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청소년 내담자의 경우 죽고 싶다는 자살사고를 갖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해를 하는 목적이 반드시 죽기 위해서라고 단정하기 어렵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