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합격자 공중보건+보건행정 요약정리(보건직, 의료기술직)
- 최초 등록일
- 2020.11.10
- 최종 저작일
- 2020.01
- 15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0원

소개글
공중보건 1~81p(총 81페이지)
보건행정 82~152p(총 71페이지)
2020 보건직 합격자입니다.
3개월간 보건행정과 공중보건을 을 참고하여 요약하였고, 이후 요약집에 기출을 공부하면서 기출내용을 함께 필기한 후로는 요약집과 기출만 이용해서 전공 공부를 하였고 합격하게되었습니다.
공중보건과 보건행정이 요약하다보니 겹치는 내용도 많아서 반복되는 내용은 한 곳에 입력해놓았기에 같이 제공해드립니다.
요약집으로 공부하신다면 2개월 동안 요약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기에 도움이 될 거라 생각됩니다.
목차
Ⅰ. 공중보건 1~81p
제1편 공중보건 총론
제2편 역학과 보건통계
제3편 질병관리
제4편 환경보건
제5편 산업보건
제6편 식품위생과 보건영양
제7편 인구보건과 모자보건
제8편 학교보건과 보건교육
Ⅱ. 보건행정(82~152p)
제1편 보건행정의 이론적 기초
제2편 보건의료의 체계와 자원
제3편 보건의료조직
제4편 사회보장
제5편 재무행정과 보건경제
제6편 정책이론과 기획이론
제7편 조직 및 인사행정
제8편 보건사업
본문내용
제1편 공중보건 총론
1. 공중보건학의 개념
제1절 공중보건학의 정의 및 영역
1. 공중보건학의 정의
(1) 윈슬로(C.E.A. Winslow, 1920)의 정의
①공중보건학이란 조직적인 지역사회의 노력을 통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며, 신체적·정신적 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이자 과학
②조직적인 지역사회의 노력
ⓐ환경위생 관리
ⓑ전염병 관리
ⓒ개인위생에 관한 보건교육
ⓓ질병의 조기발견과 예방적 치료서비스
ⓔ사회제도의 발전
(2)미국의학원의 정의
공중보건학이란 국민이 건강할 수 있는 여건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의 집단적 노력이다.
2. 공중보건사업
(1)공중보건의 대상 - 지역사회 및 지역사회주민
(2)공중보건의 3대 핵심원칙(WHO)
①참여②형평③협동
(3)앤더슨(Anderson)의 공중보건수단(공중보건사업의 3대 요소)
①보건서비스에 의한 봉사행정
②법규에 의한 통제행정
③교육에 의한 조장행정(가장 능률적인 수단)
(4)애쉬튼과 시모어의 공중보건변화 4단계
①산업보건 시기
②개인위생 시기
③치료의학 시기
④신공중보건 시기: 생활습관, 환경공해, 생체적 요인,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3. 공중보건학의 범위
(1) 윈슬로와 핸런(Hanlon) 등의 공중보건학의 범위
①환경보건 분야: 환경위생, 식품위생, 환경보전과 공해, 산업환경
②보건관리 분야: 보건행정, 보건영양, 인구보건, 모자보건 및 가족보건, 노인보건, 학교보건 및 보건교육, 보건통계, 보건정보관리, 정신보건, 각종 사고와 중독관리
③질병관리 분야: 역학, 전염병 관리, 성인병 관리, 기생충질환 관리
④사회보건복지와 관련 분야: 지역사회보건
4. 신공중보건
(1)개념 -신공중보건은 위생적·환경적·건강증진적, 개인적 및 지역사회 중심의 예방서비스간의 균형에 기반을 두고 조기 치료, 재활, 장기요양서비스와의 폭넓은 조화를 통해 개인 및 사회의 건강상태를 보호하고 증진하려는 포괄적인 노력
참고 자료
2020 EBS 안진아 공중보건/안진아 하이앤북
2020 EBS 안진아 보건행정/안진아/하이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