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서] 경영일반 (1) : 경영학의 기초
- 최초 등록일
- 2020.07.30
- 최종 저작일
- 2020.01
- 6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2,500원

소개글
"[비서] 경영일반 (1) : 경영학의 기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Chapter 01. 경영학의 기초개념
1. 경영학(Business Management ; 經營學)
2. 경영학의 두 흐름
Chapter 02. 경영관리의 역사
1. 고전적 관리론(전통적 관리론)
2.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3. 근대적 관리론
4. 현대적 관리론(최신이론)
5. 최신 경영기법
6. 기업의 형태
7. 기업결합
본문내용
1. 경영학(Business Management ; 經營學)
a. 정의
▪ 회사를 경영하기 위한 지식을 체계화 하는 학문
▪ 협의 : 회사 내 문제 / 광의 : 국민경제 전체
▪ 최종적 목표 : 모든 조직체에 보편타당한 일반원리 구축
b. 경영의 두 가지 지표 : 효율성과 효과성
i. 효율성(Efficiency)
□ 달성된 결과와 사용된 자원과의 관계
□ Ex. 회수율, 능률
□ "방향성" ==> 어떤 일을 하면서 목적에 부합한다는 것
ii. 효과성(Effectiveness)
□ 계획된 활동이 실현되어 계획된 결과가 달성되는 정도
□ Ex. 목표 대비 실적 [계획 수량(목표)와 생산수량(실적)의 달성정도]
□ "힘" ==> 목적 상관X, 경제적이고 능률적인 것
<중 략>
2. 경영학의 두 흐름
a. 독일 경영학
▪ 태동 : "완전한 상인" (J. Savary, 1675) ==> 14~16c 이탈리아에서 생성된 상업학 기반
▪ 사봐리 상업학 ==> 독일상업학 : P. Marperger, K. Ludovici, J. Leuchs
▪ 20c 초 대학수준의 각급 상업교육기관 설치 (ex. 라이프찌히대학, 쾰른대학(세계최초 상과대학)
▪ 학자들에 의해 다뤄짐 ==> 학문적 측면이 강함
b. 미국 경영학
▪ 기업을 주 연구 대상으로 하는 경영관리학(Business Administration(Management))
▪ 19c 중반 산업혁명과 남북혁명 이후 산업발달기에 탄생
▪ 실천적, 실용적 연구 중심 : 생산관리, 재무관리 등
▪ 다양한 학파 O, but 체계화된 과학으로서의 통일성 X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