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읽어주는 미술치료 기말고사 (A+받음)
zizz12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마음을 읽어주는 미술치료 기말고사 모음집입니다.보시기 편하시도록 제가 직접 수정하여 통합하였습니다.
(정답 오류 수정완료.)
-답은 하이라이트로 표시
감사합니다.
목차
없음본문내용
1. 달리의 작품 ‘폴 엘뤼아르의 초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① 얼굴을 마주한 두 형상은 달리와 갈라의 모습
② 1919년 유화 작품
③ 화가 자신이 느끼는 현실적이며 무의식적 갈등을 그림 속에 직설적으로 표현
④ 달리가 갈라의 첫 남편을 그린 초상화
2. 다음 KFD 그림에서 나타나는 내담자의 심리 상태에 대해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아이의 엄마는 저녁 식사 후에 설거지를 하고 계시는 중이라고 한다. 아빠는 청소기를 돌리고 계신다. 아이의 오빠는 그런 아빠 뒤에 서있고 본인은 발레복을 입고 외출준비를 하고 있다. 집안에는 신발장 위에 각자의 신발들이 가지런히 놓여 있다. 하지만 그림에선 뭔가 부자연스러운 부분이 있다. 그림 위에 물결무늬가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져 있다. 아이에게 이것이 무엇이냐고 묻자 구름이라고 대답한다.』
① 높은 목표를 가지고 거기에 도달하고자 노력하는 상태
② 미성숙한 인격을 가진 상태
③ 부적절한 보상적 방어의 감정을 가진상태
④ 가정 내에서 안정감이 부족하거나 불안,걱정 또는 공포를 느끼는 상태
⑤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것에 대한 강한 저항감을 느끼는 상태
3. 수업시간에 별칭짓기 중 별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슴도치-처음엔 다가가기 힘들지만 알고 보면 온순하다
② 앵무새-혼자 쉬는 것을 좋아한다
③ 호랑이-자신감이 가득하고 공격적이다
④ 선인장-게으르다
4. 수업시간에 별칭짓기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노호혼 - 누군가에게 자극을 받아 그와 같이 생활하려 한다
② 마차 - 옛날 물건을 좋아한다
③ 햄스터 - 존중받고 싶고 계산적이지 않다
④ 금붕어 - 바다를 꿈꾼다
5.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아동의 지능을 알기 위해서 인물화를 그린 것을 보고 등급을 줬다.
② 인물은 모든 사람이 관심을 가장 크게 갖고 그려 온 주제이다.
③ 중세에는 신화적인 내용을 주제로 삼는 인물이 그려졌다.
④ 인물화가 치료의 도구로 쓰여지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말 부터였다.
6. 별칭짓기 설명 중 지는게 싫고 결과가 무엇이든 삶의 마지막까지 혼신을 다해 불태워 보고 싶어서 지은 별칭은?
① 높은 성
② 시소
③ 노을
④ 호랑이
⑤ 오뚜기
7. 다음의 인물화 기법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반드시 전신 그림일 필요는 없다고 말해준다.
② 인물화가 완성된 후에 그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듣도록 한다.
③ 일반적으로 남자는 어머니의 모습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④ 여자는 자아의 모습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⑤ A4용지에 자신이 생각하는 인물화를 현실적으로 그리도록 한다.
8. SWT 검사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인의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를 투사적인 방법으로 표현한 것이다.
② 유아기부터 성인까지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③ 그림결과는 심리상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
④ 1970년 울쥬라, 아베랄르맨에 의해 창안되었다.
9. 21세 학생에게 HTP를 실시했다. 집은 한 면만 그려지고 옆모습을 그렸다. 인물도 한 팔과 한 다리만 보였다. 진단 방법으로 맞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외상 경험
② 억압하고 있거나 승화하고 싶어 하는 적대적 심리상태 반영
③ 익숙한 것에만 집착
④ 자폐적 사고
⑤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태도
10. 미술치료의 기법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법을 고르시오.
“자유로운 연상이 그림 안에 녹아 들어있으며 그림 그리기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에게 사용하기에 좋은 방법이다. 미술치료사와 내담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내담자의 흥미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며, 치료사가 먼저 종이에 테두리를 그리는 등의 작업을 통해 내담자가 그림을 그리기 쉽게 하여 저항을 제거해준다. 미술치료사가 도입을 쉽게 하기 위해 단서를 주는 정형적 방법과 자유스러운 그림속에서 의미 있는 사물을 찾아 표현하는 비정형적 방법이 있다.”
① 난화 기법
② 콜라주 기법
③ LMT
④ WZT
⑤ KF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