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병리사 실기 예상문제
- 최초 등록일
- 2019.09.21
- 최종 저작일
- 2019.09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3,000원

소개글
"임상병리사 실기 예상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심전도 기록 결과 V1, V2유도에 높은 R파 V5, V6유도에 넓은 S파가 출현하였을때 어떻게 판독하는가? 우심실비대
2. 심전도 검사결과 Ⅰ, Ⅱ유도에서 2봉성 P파가 출현하였다면 어떻게 판독하는가? 좌심방부하
3.. 심전도 기록결과 아래 같이 Ⅱ, Ⅲ 유도에서 증고된 첨예한 P파가 출현하였을 때 어떻게 판독하는가? 우심방부하
4. 심전도 검사결과 폭 넓고 키카 큰 비정상 QRS군, QRS군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T파가 출현하면서 대상성 휴지기의 특징을 보일 경우 어떻게 판독하는가? 심실조기수축
5. 심전도 검사결과 연발하는 비정상 QRS군이 보였다면 어떻게 판독하는가?
Short run형 조기수축
6 심전도 검사결과 비정상 QRS군이 여러가지 형태로 나타났다면 어떻게 판독하는가? 다원성(multifocal)조기수축
7. 심전도 검사결과 f파가 300~600회/분의 빈도로 빠르게 출현하면서 RR간격이 매우 불규칙 하였다면 어떻게 판독하는가? 심방세동
8. 심전도 검사결과, P, QRS, T파의 구분이 불가능할 정도로 무질서하게 보이는 경우에 어떻게 판독하는가? 심실세동
9. 심전도 검사결과 PQ간격이 0.28초로 일정하게 기록되었다면 어떻게 판독하는가? 1도 방실블록
10. 심전도 검사결과 PP및 RR간격은 일정한 데 반해 PQ간격이 매우 불규칙하였다면 어떻게 판독하는가? 3도 방실블록
11. 심전도 검사결과 PQ시간 단축, QRS폭 연장, 델타파 출현 현상이 관찰되었다면 어떻게 판독하는가? WPW증후군
12. 뇌파 검사 결과 14 & 6 ㎐의 양성 극파가 출현하였고 T5와 T6에 초점이 나타났다면, 이때의 간질 발작 유형은? 자율신경성 국소성 발작
13. 뇌파 검사 결과 주파수 및 진폭이 불규칙한 artifact가 혼입되었다면 그 원인은 무엇이겠는가? 근전도
14. 운동신경전도속도 검사 결과 손목과 팔꿈치 자극으로 출현하는 복합 활동전위의 잠복시간이 각각 2.8msec와 6.3msec이었고, 두 자극점 간의 거리가 22cm이었다면 팔꿈치 이하 정중신경의 전도속도는? 62.8 m/sec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