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사건으로 보는 옛 이야기 인강 내용 총 정리
- 최초 등록일
- 2019.09.10
- 최종 저작일
- 2019.03
- 5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0원

소개글
A+ 맞았습니다. 인강 내용 빠진 것 없이 모두 정리했고 이대로 보시면 됩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삼국유사(일연, 이름은 견명, 호는 무극)
일연의 일생
-1206년(고려 희종2년): 경주의 장산군(지금의 경산) 출생
-1214년(고종1년): 9세에 광주 무량사에서 공부
-1227년(고종14년): 선불장에서 장원급제, 비슬산에서 참선
-1259년(고종46년): 대선사가 됨
-1261년(원종2년): 강화도 선월사에 거처, 지눌을 계승
-1277년-1281년: 청도 운문사에서 거처, 이후 인각사에서 삼국유사 집필
-1283년(충렬왕9년): 개경 광명사에서 거주, 국존으로 책봉
-1289년: 입적
삼국유사 구성(총 9편으로 구성)
- 왕력편: 각 나라 신라, 고구려, 백제의 연표
- 기이편: 고조선부터 가락국기까지 서술, 신이한 이야기들
- 흥법편: 불교 수용과정의 역사
- 탑상편: 불교적 신앙 관련 건축물 및 대상 관련 내용
- 의해편: 승려들의 서적, 행적
- 신주편: 밀교의 영험한 일들
- 감통편: 다양한 계층 사람들의 기적적인 신앙 경험
- 피은편: 숨어살던 이들의 이야기
- 효선편: 신앙, 사람들의 가정사적 문제에 대한 내용들
삼국유사의 특징
1. 유사로 이름 지음
- 정사에서 빠졌거나 흘려버린 것의 의미를 포함
- 기록하여 남기고자 하는 의도를 포함
2. 신이적 요소를 적극 수용
- 신화를 기꺼이 받아들임 (기이) “제왕이 일어날 때에는 보통 사람과 다른 점이 있고, 커다란 변화를 타서 왕업을 이룬다. 삼국의 시조가 신비, 기이한 데서 나왔다고 해서 어찌 괴이하랴”
- 단군이야기, 주몽이야기, 가락국이야기 등
3. 우리 역사 범주 확장
- 단군의 이야기. 단군신화부터 우리 역사 서술
4. 불교 중심적 내용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