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내연기관의 이론과 성능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9.02.28
- 최종 저작일
- 2018.10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엔진 작동 원리
2.엔진 효율
3.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
III. 결 론
본문내용
내연기관이란 연료를 내부의 실린더, 혹은 연소실 등 에서 연소시켜 동력을 얻는 기관을 가리키는 용어로 열기관이라고도 한다. 열기관은 주로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열에너지원으로는 태양열, 지열, 핵에너지까지 고려될 수 있는데, 주로 화석 연료인 석유와 석탄이 주된 열에너지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열에너지는 작동유체에 에너지를 전달하고, 한정된 공간에서 작동유체로 전달된 열에너지는 유체를 고온․고압으로 팽창시켜 기구학적인 기계장치에 의해 유용한 기계적인 일로 변환된다. 항공기에서는 추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추진기관이라고 한다. 추진기관을 장착한 최초의 동력비행은 라이트형제에 의해 1903년에 이루어 졌으며 초기의 추진기관은 19세기에 개발된 왕복기관을 사용하였고, 제2차 세계대전 전까지는 성형 왕복기관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이후에는 가스터빈의 발달로 성형 왕복기관은 가스터빈기관으로 대치되었으며 소형항공기에서만 대향형 왕복기관이 사용되고 있다. 모든 동력 비행의 추진에 사용되는 항공기 엔진의 가장 보편적인 두 가지 형식은 왕복엔진과 가스터빈엔진이다. 이들 엔진은 추진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기 위해 열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열기관이라고 불려진다. 그래서 항공기의 내연기관의 이론과 성능에 대해서 설명 할 것이다.
1.엔진 작동 원리
대부분의 항공기용 왕복 엔진은 독일의 오토에 의해 1876년 개발된 4행정 5사건 사이클로 작동되는 오토 사이클 엔진이다.
4행정 사이클 엔진의 4행정은 흡입, 압축, 팽창, 배기이다. 4행정 사이클 엔진에서 각 사이클 당 크랭크축은 2회전한다. 기본 동력발생 부품은 실린더, 피스톤, 커넥팅 로드와 크랭크축이다. 피스톤이 이동하는 거리를 행정이라 부른다. 각 행정은 크랭크축으로 180도 회전시킨다. 실린더에서 피스톤의 위쪽 이동 한계를 상사점이라 하고 아래쪽 이동 한계를 하사점이라 한다. 흡입행정은 흡기밸브가 열려 있고 배기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피스톤이 상사점에서 밑으로 움직일 때 기화기로부터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가 실린더 속으로 흡입되는 행정이다.
참고 자료
항공기 왕복엔진, 노명수, 성안당
한국항공우주학회, 제5판 항공우구학개론, 경문사, 2016
https://namu.wiki/w/%EB%82%B4%EC%97%B0%EA%B8%B0%EA%B4%8
https://namu.wiki/w/%EC%99%95%EB%B3%B5%EC%97%94%EC%A7%84
https://prezi.com/_ce0wqbx9gp3/presentation/
http://m.cafe.daum.net/ajoumechjob2005/CLv0/6?q=D_SgkccTp8KnI0&
http://www.kau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392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obot_2012&logNo=220420268710&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https://ko.wikipedia.org/wiki/%EB%82%B4%EC%97%B0%EA%B8%B0%EA%B4%80
https://slidesplayer.org/slide/11321221/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3000y3000&logNo=40176825023&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