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 경제의 이해 중간고사 A+
- 최초 등록일
- 2019.01.25
- 최종 저작일
- 2018.1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경제의 이해 중간고사(한국 경제의 발전과정, 한국 경제발전의 원동력)
목차
1. 한국 경제의 발전과정
1) 일제 해방 및 정부수립
2) 성장의 발판, 경제기반 마련
3) 다시 찾아 온 위기와 혼란
4) 경제성장의 과도기
5) 군사정권의 재등장, 위기와 극복
6) IMF위기와 극복]
7) 느낀점
2. 한국 경제 발전의 원동력
1) 최빈국에서 경제 대국으로
2) 노동자의 희생
3) 국민들의 희생
4) IMF위기와 극복
5) 느낀점
본문내용
1.한국 경제의 발전과정
[일제 해방 및 정부수립]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제 2차 세계 대전에서 패망하면서 한반도는 해방을 맞게 된다. 하지만 이 당시의 한반도는 이권과 이념 대립의 장이었다. 38도선을 기점으로 북한은 소련의 친소사회주의를 채택하였고 남한은 미국의 친미자본주의를 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방 이후 북한은 소련, 남한은 미국에 의한 군정을 받게 되었다. 이후 1948년 8월 15일, 남한에서는 미국과 친일 세력을 등에 업은 이승만이 단독정부를 수립하게 되고, 분단의 책임소재를 피하기 위해 눈치를 보던 북한도 같은 해 9월 9일 소련의 지지를 업어 김일성이 정부를 수립하게 된다.
[성장의 발판, 경제기반 마련]
해방 이 후 군정을 거쳐 힘겹게 정부를 수립했지만, 해방 이전 보다 우리나라의 경제 여건은 더욱 더 좋지 않았다. 인구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식량 부족에 시달렸고, 해방 직전 일제가 고액 화폐 권을 남발함에 따라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겪게 된다. 또한 해방으로 인해 일본 자본 및 기술자들의 철수했고, 남북 분단으로 인해 교류가 잘 되지 않아 공장의 가동률이 크게 떨어지는 등 이러한 원인들이 경제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정부는 3가지 정책을 시행하게 된다. 첫 번째로 토지개혁이 있는데 이전에는 소작제도로 인해 농민들의 대부분이 땅을 소유하지 못한 상태였다. 하지만 토지개혁을 시행하여 유상몰수, 유상분배를 통해 농민들이 토지를 소유하고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된다. 두 번째로 귀속재산처리를 시행하였다. 이 당시 일본인이 소유하던 재산들이 해방 직후 소유권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부동산 및 기업체, 각종 산업 시설 등을 싼 값에 내놓아 처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중앙은행 설립이 있다. 중앙은행은 화폐 발권에 대한 전권을 보유하는 발권은행, 나라의 금고 역할을 하는 정부의 은행, 은행의 은행 등 3가지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우리나라는 1950년 4월 한국은행 법 제정을 통해 중앙은행을 설립하게 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