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론
- 최초 등록일
- 2018.06.24
- 최종 저작일
- 2014.09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Ch. 6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과정
2. Ch.7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기술
본문내용
- 지역사회의 복지를 효율적, 효과적으로 달성,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지식과 기술을 토대로 하여 합리적이고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접근을 해야 함.
- 지역사회복지 실천 과정 < 문제확인 - 지역사회 사정 - 계획 - 실행 - 평가 >
1. 문제확인
◇ 지역사회에 내재되어 있거나 표출된 문제들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규명하기 위한 과정
1) 지역사회 진단
◇ 문제와 관련된 객관적인 문헌과 실증자료를 분석 - 사회경제적 현황
◇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문제를 둘러싼 지역사회의 고유한 상황을 파악
◇ 지역주민들이 그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 합의의 여부, 문제해결에 있어 기득권층과 약자층,
이익을 보는 집단과 손해를 보는 집단 등 정치적인 지형을 파악해야 함
2) 표적집단의 확인
◇ 표적집단은 실천의 대상이 되는 동시에 문제를 내포하고 있어 변화가 필요하다고 간주되는 집단. 지역주민 전체가 표적집단이 될 수 있으나 시간과 자원의 제약으로 특정 표적집단을 선정할 필요가 있음
◇ 표적집단의 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상태 등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지역사회의 환경과 같은 사회환경적 요인 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함
3) 우선순위 선정
◇ 지역사회 내에 산재되어 있는 여러 문제들 중 무엇을 우선으로 삼을 것인지를 판단해야 하며, 확인된 문제는 공식화해야 함
2. 지역사회 사정
◇ 지역사회 사정은 현재의 상황을 진단하기 위한 체계적 과정이며 지역사회의 제반 요소를 확인하는 과정. 지역사회 사정은 지역사회의 욕구와 자원을 파악하는 과정임
1) 지역사회 사정의 주요 원칙 및 고려사항
◇ 지역사회 욕구사정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그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서비스나 프로그램들의 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것
◇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제를 확인하고 문제해결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초점을 둠
◇ 제한된 자원과 역량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쟁점이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해야 함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