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력징후 이론정리
- 최초 등록일
- 2017.11.20
- 최종 저작일
- 2017.1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700원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활력징후
·체온,맥박,호흡과 혈압을 전통적인 활력징후라고 한다.
·산소포화도 또한 전통적인 활력징후 측정과 함께 신체기능을 감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활력징후는 다른 부분에서 관찰되지 않는 신체 기능이 변화를 반영한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언제 측정하며 얼마나 자주 측정해야 하는지는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판단함
·기관마다 활력징후에 대한 방침이 있으며 의사가 활력징후 측정 시간을 특별히 지시하기도 함
성인: 구강체온37(98.6) 맥박80(60~100) 호흡16(12~20) 혈압120/80
☞ 활력징후 사정이 필요한 상황
·입원 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함
·건강상태에 변화가 있거나 흉통,화끈거림,현기증을 호소할 때
·침습적 절차 및 수술 전후
·호흡기계나 심혈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 투여 전후
·활력징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간호중재 전후(장시간 침상안정을 하던 대상자 기동 시작 전)
·수혈 전 중 후
☞ 체온
·신체의 열생산과 열소실의 균형 상태를 반영하며 단위는 도이다
·심부체온은 복강,골방강과 같은 신체의 심부조직 온도이며 비교적일정함
·표면체온은 피부,피하조직과 지방의 온도이며 심부체온에 비해 환경에 따라 잘 변화한다.
[체내 열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 기초대사율 – 보통나이가 많아지면 대사율은 감소하고 젊을수록 대사량 높음
2. 근육활동
3. Thyroxine배출 –세포대사율이 증가한다
4. 에피네프린, 노에피네프린과 교감신경자극 스트레스 반응
5. 발열
[체내 열소실]
복사(radiation): 접촉되지 않은 두 물체 간에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열이 전이되는 방법
전도(conduction): 한 분자에서 더 낮은 온도의 다른 분자로 열이 전이되는 상태.
분자들 간에 접촉이 없으면 전이되지 않는다. 차가운 물에 빠진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전도는 열소실 중 극히 적은 부분을 담당한다. 열전도의 정도는 온도의 차이, 접촉량, 접촉시간에 달려 있다.
대류(convection): 공기의 흐름에 의해 열이 분산되는 것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