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상담사 3급 집단상담의 기초
- 최초 등록일
- 2017.06.28
- 최종 저작일
- 2017.06
- 6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집단상담의 개념
2. 청소년 집단상담
3. 집단상담의 이론
4. 집단상담의 실제
본문내용
(1) 가트라이트와 잰더(Gartwright & Zander)의 정의
집단의 속성은 다음과 같으며, 그 속성의 수가 많고 적음에 따라 집단응집력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보다 많은 수에 해당하는 경우 집단응집력이 높으며, 집단 본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집단의 속성
① 집단성원의 빈번한 상호작용
② 집단성원으로서의 자인(스스로 인정)
③ 타인들에 의한 집단성원으로서의 인정
④ 공동관심사에 대한 집단규준
⑤ 상관성 있는 역할체제에의 동참
⑥ 동일 모범대상(지도자) 혹은 초자아적 이상의 정립으로 인한 상호간의 동일시
⑦ 집단을 통한 욕구 충족
⑧ 공동목표의 추구
⑨ 일체성에 대한 집단적 지각
⑩ 환경에 대한 통일된 방식의 행동 경향
(2) 상담과 관련한 집단의 속성 ★
공동 목표
▪ 행동이나 태도의 변화를 위한 공동 목표를 가진다.
▪ 집단의 목표와 집단원 개인의 목표달성과는 동일하지 않지만,
집단의 목표는 개인의 참여목표와 어느 정도 일치하여야 한다.
집단성원들의 의욕과 참여
일정기간 지속적으로 모인다.
역동적 상호작용
비교적 정상범위에 속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상담의 기법과 전략들을 적용하여,
그들 사이에 발생하는 역동적인 상호교류과정을 통해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 또는 인간적 성장을 추구한다.
집단의 규준
집단성원이 따르게 될 집단의 규준이 발달되어야 한다.
자기지도의 능력
자기지도를 위한 능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3) 집단규범 ★
▪ 집단구성원들에게 공유되어 수용될 수 있는 행동기준이다.
▪ 구성원들이 어떤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취할지의 신호이다.
▪ 집단상담자와 영향력 있는 집단원들에 의해 구성 · 발달된다.
▪ 외적 통제력을 가지고 개인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자기개방, 느낌 중심의 상호작용, 즉시성, 자기탐색 등이 포함된다.
▪ 집단원들이 집단참여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의 성취를 촉진하는 기능이 있다.
▪ 목적달성 및 구성원 간 동질성 유지에 기여한다.
▪ ‘해야할 것’과 ‘해서는 안 되는 것’에 대한 공유된 신념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