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음절구조의 특징을 정리하고, 외국어와 한국어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논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6.05.14
- 최종 저작일
- 2016.05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판매자raga**** (본인인증회원)
15회 판매
목차
1. 한국어 음절 구조의 특징
2. 외국어와 한국어의 차이점 비교
1) 한국어
2) 영어
3) 일본어
4) 중국어
본문내용
한국어는 음절문자다. 음절이란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여 한 번에 낼 수 있는 소리의 마디를 일컫는다. 한국어 음절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음운론적으로 가능한 한국어 음절 구조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음 하나로 음절을 구성하는 경우다. 예를 들면 ‘아, 어, 오, 이’ 처럼 첫소리와 받침없이 모음만으로 한 음절을 구성한다. 첫소리에 쓴 ‘ㅇ’은 표기상 완전한 음절을 보여줄 수 있도록 글자의 자리를 채우기 위해 사용되고 소릿값은 없다.
두 번째는 ‘초성과 중성’으로 음절을 구성하는 경우다. ‘고, 나, 더, 레’와 같이 받침없이 자음과 모음만으로 한 음절을 구성한다.
세 번째는 모음 다음에 자음이 결합한 경우로 종성 자리에 오는 자음이 받침이 된다. ‘악, 윤, 웅, 얼’ 등이 그 예이다.
네 번째는 ‘자음+모음+자음’으로 구성된 음절 유형이다. 받침으로는 초성에 사용되는 모든 자음이 올 수 있지만 종성 규칙에 의해 7개 대표음(ㄱ, ㄴ, ㄷ, ㄹ, ㅁ, ㅂ, ㅇ)으로만 발음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