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학]문헌정보학 개론 중간고사 대비 요약
- 최초 등록일
- 2016.01.31
- 최종 저작일
- 2016.01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목차
1. 지식정보사회의 발달
2. 정보와 정보원
3. 정보전문직
4. 정보전문직 인물과 전문단체
5. 정보자료의 변천
6. 도서관의 성립과 발달
7. 서양의 문헌정보학
본문내용
1. 지식정보사회의 발달
가. 지식정보사회의 개념과 발달
1) 지식정보사회의 개념
① ‘지식사회’라는 용어는 1962년 벨이 처음으로 사용하였으며, 경영학자 드러커 교수에 의해 지식사회에 대한 논의가 촉진됨.
② 도서관의 가치와 전통적인 기능은 정보기반의 지식사회에서는 필수적인 부분.
③ 패러다임 변화과정: 농업혁명>산업혁명>정보혁명>(글로벌 정보사회)>지식혁명
2) 정보기반 구조
① 정보기반 구조
․ 생산자: 작가, 예술가/음악가, DB제작자
․ 제품: 도서/잡지, CD-ROM, 데이터베이스, 웹 페이지
․ 배급자: 출판사, 벤더, 인터넷 제공자
․ 배포자: 학교, 도서관, 대학, 박물관, 기업, 정부기관
․ 이용자: 개인, 연구자, 학생, 고용주, 피고용인
② 도서관을 네트워크의 한 부분으로 볼 수 있음.
③ 1970년 국내 도서관(공공, 대학, 학교 및 전문특수 포함)의 수 : 2,583개 > 2007년에 11,754개로 증가, 현재(2010년) 소형도서관 포함 17,000여개로 증가
나. 지식정보사회의 발달과 정보환경의 변화
1) 정보기술의 변화
① 1945년~1965년 : 데이터처리의 시대 > 1965~1995년: 정보처리의 시대 > 1995년 이후 : 지식관리의 시대
② 도서관 변화의 주요 내용: 정보 생산량의 증가, 정보유통 및 이용의 증대, 정보가치의 상대적 중요성, 정보전달매체의 다양화, 정보요구 내용의 다양화, 개인적 평생 교육의 필요성, 자동기기 및 통신기술의 발달 등
2) 도서관 기술의 변화
① 1900년~1960년대 : 마이크로 사진기술의 발전시기 > 1960년대 : 컴퓨터 응용 시작 시기 > 1970년대 : 참고용 온라인 정보기술의 사용 시기 > 1980년대 : 지역 전자정보기술의 성숙과 인터넷의 성장 시기(온라인 컴퓨터 접근목록 OPAC 발전) > 1990년대 : 모든 정보기술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시기
다. 지식기반사회와 도서관
1) 도서관과 사회 환경의 변화
① 사서가 다뤄야 할 앞으로의 문제들
․ 우리 사회에서 도서관 사서의 역할과 사명은 무엇인가?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