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개론 시험 예상 답안
- 최초 등록일
- 2015.09.21
- 최종 저작일
- 2012.1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국어학개론 시험을 위한 답안 예시 작성본입니다. 결과는 A+이었습니다. 시험을 위해서도 좋지만, 모든 항목이 국어학 입문을 위한 키워드에 해당하기 때문에 공부하다 막히거나 정리된 자료를 보고 싶을 때 보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목차
1. 형태론의 얼개
2. 음운 체계 변천사
3. 낱말의 소리와 뜻의 바뀜
4. 15c 국어의 문법
본문내용
1. 형태론의 얼개
형태론은 단어의 형태변화와 그 구성을 연구하는 문법론으로, 조어법(만들기)과 굴곡법(꼴바꿈)으로 나뉜다. 조어법은 말 만드는 가지와 자립형식이 합쳐지거나 두 개 이상의 자립형식이 합쳐져서 새로운 말을 만드는 방법을 말한다. 조어법은 합성법과 파생법으로 나뉜다. 합성법은 두 개 이상의 뿌리가 합해져서 단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밤낮, 몇날, 들것’과 같이 자립형식끼리 합쳐진 통어적 합성어와 ‘늦가을, 굶주리다’와 같이 어근의 꼴바꿈을 하지 않거나 연결어미가 없어 비통어적인 비통어적 합성어로 나뉜다. 한편, 파생법은 어근에 파생접사가 붙어 단어를 형성하는 방법이며, 이는 앞가지 파생법과 뒷가지 파생법으로 나뉘는데, 뒷가지 파생법은 앞가지 파생법에 비해 생산적이며 밑말의 씨범주를 바꾸는 일도 있다. 합성법과 파생법으로 만든 합성어와 파생어를 복합어로 묶을 수 있고, 이 복합어와 단일어가 단어를 이룬다.
형태론의 다른 큰 범주인 굴곡법은 뿌리에 굴곡의 가지가 붙어 한 낱말의 꼴이 바뀜을 보는 것을 말한다. 이는 임자씨에 여러 토씨가 붙는 곡용(준굴곡법)과 풀이씨의 굴곡인 활용(굴곡법)으로 나뉜다. 먼저 곡용은 조사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격조사, 보조조사, 연결조사, 특수조사로 나뉜다. 먼저 격조사는 일정한 자리를 나타내는 조사로, 주격․목적격․비교격․위치격․도구격의 월성분을 만들고, 이들 월성분은 모두 서술어에 직접 이끌리는 관계를 맺는다.(호격은 예외) 하지만 조사는 모두 자리를 나타내는 것만이 아니다. 조사 가운데에는 ‘나만 알아요’와 같이 임자씨의 자리를 정해 주지 않고, 특별한 뜻을 더해 주기만 하는 조사도 있다. 이를 보조조사라고 한다. 연결조사는 ‘너와 나’처럼 임자씨와 임자씨를 이어 한 월성분으로 묶어 주는 조사이다. 학교문법에서 ‘의’는 관형격조사의 범주에 넣고 있으나, 임자씨를 연결하고 있을 뿐 서술에 직접 이끌리는 것이 아니므로 연결조사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통 조사는 명사 뒤에만 쓰이는 것이나, 특수조사는 문장 뒤에만 쓰이는 것을 말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