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 문화의 이해 필기 - 명지대 인강 인터넷강의
- 최초 등록일
- 2015.07.21
- 최종 저작일
- 2015.07
- 3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명지대학교 인터넷강의 한국전통문화의 이해 필기 족보.
14강 분량의 모든 강의의 한자와 자료들을 필기해놓았으며 실제 퀴즈나 시험도 모두 출제되었음.
총 34매의 분량.
강의 들어보시면 왜 이 자료를 구매하셔야 하는지 알 수 있음.
홍X민 교수님 강의임.
목차
제1강 한국전통문화의 이해
제2강 전통적 국토 이해와 인식 체계
제3강 전통적 인식 체계
제4강 서울의 도시구조
제5강 서울의 도시구조와 변화
제6강 궁궐의 역사 : 왕조의 흥망
제7강 궁궐 공간구조와 운영
제8강 궁궐 공간구조와 운영2
제9강 창덕궁의 구조와 운용
제10강 창덕궁의 구조와 운용2
제11강 경복궁의 구조와 훼손
제12강 경복궁의 구조와 훼손2
제13강 경운궁의 영건과 대한제국
제14강 종묘사직의 위상
본문내용
1) 문화의 구성 요소
공간(空間) / 시간(時間) / 인간(人間)
2) 문화와 문화유산
문화재(文化財) / 문화유산(文化遺産) / 문화자원(文化資源)
3) 공간 문화자원
국토
서울
왕조체제의 중심 : 국왕
궁권, 종묘사직, 왕릉
제2강 전통적 국토 이해와 인식 체계
문화 : 구체적인 어느 공간 속에서 오랜 시간 살던 실제 사람들의 삶의 꼴
1. 전통적 국토 인식
문화의 바탕 : 공간
1) 산분수합(山分水合)
(1) 산줄기는 높은 데서부터 낮은 데로 나뉘고 나뉘어져 평지가 되고, 물줄기는 작은 물줄기들이 모이고 모여서 큰 강이 되어 바다로 들어간다.
(2) 산줄기는 사람의 왕래, 물산의 유통 등을 가르고 물줄기는 합쳐준다.
ex) 산분 - 풍습, 결혼, 방언 / 수합 – 물산의 유통, 사람 왕래
2) 산자분수령(山自分水嶺)
산줄기는 그 자체가 물줄기를 가르는 경계선-분수령이 된다.
작은 산등성이는 작은 골짜기를 가르고, 큰 산줄기는 큰 강을 가른다.
3) 음양관(陰陽觀) 국토인식
“산줄기와 물줄기는 양과 음의 관계처럼 서로 어울려 우리 땅을 만든다”
음과 양은 서로 대립하면서도 상호 의존적인 관계
산줄기와 물줄기가 잘 어우러져 있는 곳이 좋은 곳
4) 배산임수(背山臨水)
산을 등지고 물을 끌어안는 자리.
산자락이 끝나 평지와 맞닿는 곳.
산지와 농경지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곳.
5) 산남수북왈양(山南水北曰陽)
산의 남쪽, 물의 북쪽을 양이라고 한다.
6) 산북수남왈음(山北水南曰陰)
산의 북쪽, 물이 남쪽을 음이라고 한다.
7) 음양 사상의 체계
(1) 태극(太極) : 무극(無極) - 없다
(2) 양의(兩儀) : 음(陰) - 선 두 개(음효) / 양(陽) - 있다 ; 선 하나(양효)
(3) 사상(四象) : 태음(太陰) - 음효 위에 음효 / 소양(少陽) - 음효 위에 양효 /
소음(少陰) - 양효 위에 음효 / 태양(太陽) - 양효 위에 양효
(4) 팔괘(八掛) : 곤(坤) / 간(艮) / 감(坎) / 손(巽) / 진(震) / 이(離) / 태(兌) / 건(乾)
참고 자료
홍순민 교수 인터넷 강의 <한국전통문화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