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3개
-
동기 전동기 예비보고서2025.01.051. 3상 동기 전동기 3상 동기 전동기의 가장 흥미로운 특징은 회전 자기장과 정확히 동일한 속도로 동작할 수 있는 능력, 단일 역률로 동작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동력원에 무효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이다. 무부하로 동작하는 3상 동기 전동기의 무효전력 Q 대 계자전류 lF의 그래프를 통해 계자 전류 lF가 증가함에 따라 소비하는 무효전력이 0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상 동기 전동기에 대한 계자 전류 lL 대 계자 전류 lF의 그래프를 통해 계자 전류 IF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모터에 대한 라인 전...2025.01.05
-
공정 제어 보고서 Y결선,델타결선,유도전동기2025.05.091. Y결선 Y결선은 각 코일의 한 끝 U2, V2, W2를 한데 묶어 이를 중성점(또는 공통점)으로 하고, 나머지 한 끝 U1, V1, W1로부터 각각 1개씩의 선을 끌어내는 방식입니다. 상전압(UP)과 선간전압(UL) 사이의 관계는 UL = √3 * UP입니다. Y결선의 장점은 중성점 접지가 가능하고 고전압 결선에 적합하며 순환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단점은 중성점 접지 시 제3고조파가 대지로 확산되어 통신에 장애를 줄 수 있고 고조파 전류의 통로가 없어 기전력 파형이 왜형될 수 있습니다. 2. 델타결선 델타(Δ)결선은 각 코일...2025.05.09
-
[전남대/일반물리실험2] 예비 레포트 / 실험5 모터와 발전기 / 성적 1등 / A+2025.01.021. 모터 모터(전동기)는 전기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인 회전 에너지로 변환해주어 역학적인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기계장치입니다. 전동기는 전력계통 에너지의 50% 이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전동기의 회전 원리는 자석(자기장) 속에 놓여 있는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도선이 힘을 받아 움직이는 것입니다. 전동기의 구조는 코일이 감긴 회전자, 고정 자석(전자석), 회전자에 전류를 연결하는 브러시로 구성됩니다. 전동기는 전류를 직접 공급하는 직류 전동기와 전류를 유도시켜 공급하는 유도 전동기로 구분됩니다. 2. 발전기 발전기...2025.01.02
-
모터제어와 DQ좌표2025.05.061. 3상 교류전동기 3상 교류전동기는 U, V, W상이 사인파로 120도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전압 및 전류가 인가되어야 회전을 할 수 있다. U, V, W상의 사인파에 따른 (+), (-) 전압에 따라 N극과 S극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교류전동기의 회전원리가 발생한다. 2. dq좌표계 모터 제어에서 교류전동기를 제어할 때 3상 좌표계에서 dq좌표계로 변환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많다. dq좌표계는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d축은 모터의 자속이 발생하는 축, q축은 토크를 발생시키는 전류의 축이 된다. 3상 좌...2025.05.06
-
PMSM 전동기 속도 제어 설계2025.05.071. PMSM (영구 자석형 동기 전동기) PMSM은 영구자석을 사용한 동기전동기로, 고정자에 교류를 인가하여 회전자계를 만들고 회전자가 이를 따라 도는 원리로 동작한다. PMSM은 크기가 작고 가격이 저렴하며 보수가 쉽지만 전기만 넣어서는 기동되지 않아 인버터 회로와 함께 설계해야 한다. 2. 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는 BJT와 MOSFET을 복합한 형태로, 높은 입력 임피던스와 낮은 도통 손실, 일정한 전압 강하 등의 장점이 있어 대전류 시 에너지 효율이 좋다. 또한 저전...2025.05.07
-
공정 제어 보고서 Y결선,델타결선,유도전동기2025.05.091. Y결선 Y결선은 성형결선이라고도 하며, 상전류와 선전류가 동일하지만 상전압은 선간전압의 √3배 차이가 난다. Y결선은 3상 전원을 도출할 때 사용하며, 고전압 결선에 적합하고 순환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중성점 접지를 통해 이상전압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델타(△)결선 델타(△)결선은 환상결선이라고도 하며, 상전압과 선간전압이 동일하지만 선전류는 상전류의 √3배가 된다. 델타결선은 고전류가 필요한 모터 등에 주로 사용되며, Y결선으로 기동 후 델타결선으로 운전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기동전류를 줄이고 과부...2025.05.09
-
전동기를 이용한 실생활의 적용 사례 연구2025.05.081. 전동기(모터)를 이용한 소형 풍력 발전기 제작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축 부분에 풍력을 이용할 수 있는 날개를 접합시키고 전기가 생산된다는 것을 관찰하기 위해서 발광다이오드를 모터에 연결하여 바람을 불어 날개가 돌아갈 때 발광다이오드에서 불빛이 나오는지 관찰한 결과 풍력에 의해 전기가 생산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 전동기(모터)를 이용한 바퀴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기 제작 1차 실험에서는 모터와 부품각각의 전압이 일정하지가 않아 전기가 만들어지지 않았지만, 2차 실험에서는 모터와 각각의 부품의 전압을 맞추고 바퀴를 돌려 발광다이...2025.05.08
-
직류모터(AC motor) 및 교류모터(DC motor)의 장단점 및 종류 비교2025.05.051. AC 모터 AC 모터는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모터입니다. 장점으로는 단순한 구조, 작동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 대부분의 장소에서 사용 가능, 고효율 동작, 속도 조절 가능, 전기적 노이즈와 진동이 적다는 것 등이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초기 비용이 높고, 제어가 어려우며, 높은 토크 생성이 어렵다는 것 등이 있습니다. AC 모터에는 동기 모터, 유도 전동기, 브러시리스 AC 모터 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2. DC 모터 DC 모터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모터입니다. 장점으로는 속도와 토크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2025.05.05
-
부산대학교_응용전자전기실험2_예비보고서3_유도전동기 [A+ 보고서]2025.01.291. 유도전동기의 구조와 작동 원리 유도전동기는 고정자 권선에 전압을 인가하고 회전자에는 별도의 전압 인가 없이 회전자 도체에 전압 및 전류가 유도되어 운전하는 방식의 전동기입니다. 3상 교류 전류를 고정자에 공급하면 회전자계가 형성되고, 이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자에 전압이 유도되어 회전하게 됩니다. 회전자와 회전자계 사이에는 슬립이라는 차이가 발생하며, 이를 통해 유도전동기가 회전할 수 있습니다. 2. 유도전동기의 등가회로와 손실 유도전동기의 등가회로에서는 2차 측에 유기되는 기전력 E2에 슬립 S가 곱해지며, 2차 측의 누설리액...2025.01.29
-
동기전동기 예비보고서2025.01.121. 동기전동기 1 동기전동기의 구조와 시동특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3상 동기전동기는 고정자에 3상 교류를 흘려주면 회전자가 회전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회전자는 직류 전원으로 여자된 자극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동기전동기 2 동기전동기에서 가변 인덕턴스 또는 콘덴서의 역할과 직류 전류 대 교류 전류 특성곡선에 대해 설명합니다. 동기전동기는 기동토크가 0이므로 회전자를 미리 동기 속도로 회전시켜야 하며, 이때 회전 자기장과 회전자의 극이 맞물려 회전하게 됩니다. 1. 동기전동기 1 동기전동기는 교류 전원을 사용하여 회전자와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