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2개
-
항공 및 복합운송화물보험과 컨테이너보험에 대한 설명2025.01.201. 복합운송화물보험 복합운송과 적하보험, 복합운송인의 책임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복합운송인은 운송물의 수령부터 인도까지 자기 또는 사용인의 귀책사유로 인한 멸실, 훼손, 연착손해에 대한 책임을 부담하며, 책임형태는 각 운송구간 이중책임형, 전 운송구간 단일책임형, 절충식 책임형으로 구분됩니다. 2. 컨테이너보험 컨테이너보험은 컨테이너 자체의 보험, 컨테이너 소유자의 제3자 손해책임보험, 컨테이너 운영자의 화물손해배상책임보험을 포괄합니다. 컨테이너 자체의 보험은 단독 부보가 가능하지만 나머지 두 보험은 컨테이너 자체의 물보험이 선...2025.01.20
-
무역보험론(기말) 신협회적하약관의 내용 및 항공 및 복합운송화물보험과 컨테이너보험 설명2025.01.251. 신협회적하약관의 내용 신ICC는 이전의 구ICC에 비해 담보범위가 명료하고 평이하며, 손해의 원인이 되는 담보위험만을 열거하여 보다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다. 이로써 보험자는 신ICC만 확인하여 담보범위를 파악할 수 있어서 본문 약관, MIA, 구ICC를 모두 검토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보험자의 보상 범위에 대한 조항은 구ICC와 크게 변동이 없다. 2009년에 개정협회적하약관이 시행되었으며, 주로 보상내용에 대한 개정이 이루어졌다. 신ICC에 비해 면책범위가 축소되었고, 포장 불충분 및 선주 파산면책이 제외되었다. 운송조항,...2025.01.25
-
선하증권2025.01.221. 선하증권 개관 선하증권(B/L : Bill of Lading)은 해상운송인에 대해 운송물의 인도청구권을 증권화한 유가증권입니다. 운송인이 그 증권에 기재된 화물을 수취하였음을 확인하고 또한 그 화물을 목적지까지 운송하여 그곳에서 그 화물을 증권의 정당한 소지인(수하인)에게 인도해야 한다는 취지를 약정한 유가증권입니다. 선하증권은 요인증권, 문언증권, 요식증권, 채권증권, 유통증권의 성질을 가집니다. 2. 선하증권의 종류 선하증권에는 선적선하증권, 수취선하증권, 전통선하증권, 무고장선하증권, 고장선하증권, 기명식 선하증권, 지시...2025.01.22
-
신 협회적하약관 및 항공/복합 운송화물보험, 컨테이너 보험 개요2025.01.251. 신협회적하약관 신협회적하약관은 1982년, 2009년에 개정되었으며, 구보험증권의 본문 약관, 이탤릭체 약관, 난외 약관(marginal clause)과 이면의 특별약관으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를 개선하여 신보험증권에 신협회적하약관을 이면에 첨부함으로써 보험증권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협회적하약관은 ICC-A, ICC-B, ICC-C 3가지 약관으로 구분되며, 담보위험, 면책위험, 보험기간, 보험금청구, 보험이익, 손해경감, 지연방지, 법률 및 관례 등 8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9년 개정 시에는 일...2025.01.25
-
항공 및 복합운송화물보험과 컨테이너보험에 대한 설명2025.01.131. 항공 및 복합운송화물보험 항공 및 복합운송화물보험은 항공화물 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손해를 보호하는 보험 상품입니다. 이 보험은 화물운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분실, 도난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해주며, 항공기, 항구, 창고 등에서의 손상이나 사고로 인한 손실을 보상합니다. 항공화물 운송은 복잡한 과정을 거치므로 이러한 보험이 필요하며, 화물주, 항공사, 운송업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컨테이너보험 컨테이너보험은 컨테이너 운송과 관련된 다양한 손해를 보호하는 보험 상품입니다. ...2025.01.13
-
국제복합운송의 개념, 특성 및 주요 경로2025.11.121. 국제복합운송의 개념 복합운송(Multimodal transport)은 단일운송계약 하에서 복수의 운송인이 관여하는 운송을 의미합니다. 복합운송인이 화물을 자기의 보관 하에 인수한 한 국가의 지점에서 다른 국가에 위치한 인도지점까지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상이한 운송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화물운송입니다. 수개의 운송계약이 체결되고 운송증권이 발행된 경우는 부분운송 또는 구간별 운송으로 구별됩니다. 2. 국제복합운송의 경제적 효과 컨테이너에 의한 국제복합운송은 운항비용, 하역비, 포장비, 보관비, 해상보험료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2025.11.12
-
무역운송의 의의와 종류2025.01.191. 무역운송의 의의 무역운송(transport for trade)은 무역거래에 수반되는 국제운송이다. 국제운송(international transport)은 물품을 제공하는 한 나라의 장소와 물품을 제공받는 다른 나라 장소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적 거리를 좁히기 위한 물품의 공간적 이동과 시간적인 극복을 통하여 재화와 용역의 효용가치를 증대시키는 행위이다. 과거에는 운송의 중요성이 부각되지 않았으나, 오늘날에는 산업구조의 고도화, 국제경쟁의 심화, 세계시장의 통합, 소비자 요구의 다양화 등으로 인해 무역운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2025.01.19
-
항공 및 복합운송2025.01.221. 항공운송 항공운송은 야행성, 편도성, 비계절성, 신속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항공운송의 장점으로는 수송기간 단축, 재고비용 절감, 양호한 수송조건 등이 있다. 항공운송에서는 항공화물운송대리점과 혼재업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공화물운송장은 화물 유통을 보장하는 기본적인 운송서류이다. 2. 복합운송 복합운송은 두 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을 결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방식이다. 복합운송인이 전체 운송구간에 대한 책임을 지며, 복합운송증권을 발행한다. 대표적인 복합운송경로로는 시베리아 랜드브리지와 미니 랜드브리지가 있다. 1. 항...2025.01.22
-
선하증권2025.04.281. 선하증권의 의의와 기능 선하증권(Bill of Lading : B/L)은 선주가 자기 선박에 하주로부터 의뢰받은 운송화물을 적재하고 또는 선적을 위하여 그 화물을 수취한 것을 증명하고, 이것을 도착항에서 일정조건하에 수하인 또는 그 지시인에게 인도할 것을 약정한 유가증권이다. 선하증권은 선장 또는 선주의 대리인으로서 정당한 권한을 부여받은 자가 서명한 화물수취증(receipt of goods)이며, 현 시점에서 다른 더 완전한 운송계약이 없는 한, 송하인과 운송인 사이에서 협정된 구체적인 운송계약사항을 나타내는 증거서류의 역할...2025.04.28
-
운송주선인2025.01.201. 운송주선인의 개요 운송주선인(Freight Forwarder)은 아직까지 국제적으로나 국내적으로 통일된 개념이 정립되지 않아 다양한 용어로 표시되며, 국문으로는 운송주선업자, 국제운송주선인, 복합운송인, 복합운송주선인 등으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직접 운송수단을 보유하지 않은 채 화물운송의 주선이나 운송행위를 하는 자로, 화주와 운송인 사이에서 중개 역할을 수행한다. 2. 운송주선인의 기능 운송주선인의 주요 기능은 국제복합운송업무, 국제혼재운송업무, 그리고 운송계약 체결, 운송서류 작성, 보험 가입, 포장 및 보...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