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53개
-
[화학실험-과학고등학교] 식초의 중화적정 (배경이론, 실험과정, 실험결과 포함)2025.01.211. 중화적정 중화적정은 산과 염기가 만나면 중성으로 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하는 미지시료의 양과 완전히 반응하는데, 소비된 표준용액의 양을 알아내어 미지시료의 양을 추정하기 위한 실험법입니다. 중화 반응이 완전히 끝나는 종말점의 수소 이온 농도를 이용해 관찰함으로써 화학량론으로 알아낼 수 있는 당량점을 알아낼 수 있으며, 종말점까지 소비된 산 or 염기 표준용액의 부피를 측정하여 그 값으로부터 시료용액 속의 염기or 산 의 양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2. 옥살산 표준화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옥살산 수용액으로 표준화하는...2025.01.21
-
[분석화학실험] 산화-환원 적정 (강 산화제_ I2법) 결과 결과보고서 A+2025.01.201. 산화-환원 적정 이번 실험에서는 I2용액과 Na2S2O3용액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용액을 이용하여 간접아이오딘적정법인 iodometric 방법을 이용하여 미지 시료 내의 구리 함량을 구해보았으며, 직접아이오딘적정법인 iodimetric 방법을 이용하여 미지 시료 내의 As3+ 함량을 구해보았다. 실험 과정에서 녹말 지시약, KSCN, NaHCO3 등을 사용하여 적정 과정을 개선하고 정확한 종말점을 찾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2. 아이오딘 적정 아이오딘 적정법에는 간접적인 iodometric 방법과 직접적인 iodimetri...2025.01.20
-
물리화학 개인레포트2025.05.091. 반데르발스 상태방정식 반데르 발스 상태방정식에 따르는 기체에 대해 일정한 온도에서 부피 변화에 따른 엔트로피의 변화량을 나타내었습니다. 엔트로피 변화량은 nCvln(Tf/Ti)+nRln[(Vf-nb)/(Vi-nb)]-a/T[(n²/Vi)-(n²/Vf)]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물의 표준 생성 엔탈피 298K에서 H₂O(l)의 표준 생성 엔탈피는 -285.83kJ/mol이며, 60°C에서의 표준 생성 엔탈피는 -284.72kJ/mol로 계산되었습니다. 이 계산에는 일정 압력 몰 열용량 데이터가 사용되었습니다. 3. Raou...2025.05.09
-
서울여대 일반화학실험2 산화환원적정2025.05.051. 산화-환원 반응 산화-환원 반응은 전자의 이동 반응을 말하며, 많은 중요한 반응이 물 속에서 일어난다. 산화 반응은 전자의 손실이 수반되는 반쪽 반응이고, 환원 반응은 전자를 얻는 반쪽 반응이다. 산화-환원 반응에서 환원제에 의해 잃은 전자의 수는 산화제에 얻는 전자의 수와 같아야 한다. 2. 산화수 산화수는 원자의 산화 상태를 나타내며, 전자의 이동이 완전히 일어났다고 가정할 때 한 분자(또는 한 이온 화합물) 내에서 특정 원자가 갖게 되는 전하수를 의미한다. 산화수를 정하는 규칙이 있으며, 이를 통해 반응물과 생성물의 산화...2025.05.05
-
생활 속의 산-염기 분석2025.01.171. 산-염기 중화 반응 실험에서는 산-염기 중화 반응을 이용하여 식초, 아스피린, 제산제 등에 포함된 산이나 염기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물과 염이 생성되는 중화 반응의 특성을 이용하여 당량점을 찾고 이를 통해 시료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실험에서는 표준 용액을 사용하여 정확한 농도 측정이 가능했으며, 지시약과 pH 미터를 활용하여 종말점을 확인하였다. 2. 산-염기 적정 적정 실험에서는 농도를 알고 있는 표준 용액을 사용하여 시료 용액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강산-강염기, 약산-약염기, 약산-강염기 등의 경...2025.01.17
-
[A+ 실험보고서] 산염기 적정2025.01.171. 중화반응 화학에서 중화반응은 산과 염기가 서로 만나 정량적으로 반응하는 화학반응을 의미한다. 중화된 용액의 pH는 반응물의 산성 세기의 의존한다. 중화반응은 많은 용도로 이용된다. 2. 염산 적정 0.1M HCl 수용액 100ml를 0.1M NaOH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였다. 이론값과 실험값을 비교한 결과, 당량점에서의 pH 값이 이론값 7.0과 실험값 10.063 사이에 3.063의 오차가 있었다. 3. 아세트산 적정 0.1M 아세트산 100mL를 0.1M NaOH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였다. 약산과 강염기는 1:1 반응하므로, ...2025.01.17
-
분석화학실험 A+ ( 예비 레포트 ) 요오드법을 이용한 vitamin C (ascorbic acid) 정량2025.05.141. 요오드법 요오드(iodine, I2) 용액은 약한 산화제로써 환원제를 정량하는 데 사용한다. 요오드 용액의 표준화를 위해서는 순수한 Cu 금속, 순수한 비타민 C(ascorbic acid) 용액, 표준화된 싸이오황산 소듐(Na2S2O3) 용액 등을 사용한다. 요오드 적정법에서 종말점을 결정하기 위해서 녹말지시약을 사용하며, 요오드가 녹말지시약과 복합물을 형성하면 진한 파란색을 띠게 된다. 2. 요오드 직접적정법(iodimetry)과 간접적정법(iodometry) 요오드를 사용한 직접적정법은 환원제 성질을 가진 분석물질을 요오드...2025.05.14
-
전위차 적정 pH meter 실험 결과보고서2025.01.171. 전위차 적정 이번 실험은 pH미터기의 사용법을 숙지하고 미지의 산과 염기를 표준용액을 이용해 적정하여 농도와 pKa값을 구해보는 실험이다. 표준용액은 각각 0.1M NaOH와 0.1M의 HCl을 이용하고 미지의 산과 염기는 각각 HCl과 Na2CO3이다. 실험 전 알고 있어야 할 사실은 Na2CO3은 이가염기로 당량점이 두 번있다는 것을 기억해두고 실험해야 한다. 실험시작 전 뷰렛을 증류수로 세척하고 표준용액으로 세척해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뷰렛에 남아있을 수 있는 물질 때문에 오차가 커질 수 있다. 또한 당량점 근처에서...2025.01.17
-
과망간산 칼륨과 과산화수소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과산화수소 순도 결정2025.01.041. 산화-환원 반응 산화-환원 반응은 분자 간 전자 이동 과정으로, 전자를 잃는 물질은 산화되고 전자를 얻는 물질은 환원된다. 이러한 반응은 정량적으로 일어나므로 부피 분석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과망간산 칼륨과 과산화수소의 반응을 통해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2. 과망간산 칼륨 표준화 과망간산 칼륨 용액의 농도를 정확히 알기 위해 옥살산 나트륨을 표준 물질로 사용하여 적정한다. 옥살산 나트륨과의 반응을 통해 과망간산 칼륨 용액의 몰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3. 과산화수소 정량 표준화된 과망간산 칼륨 용액을 사용하여...2025.01.04
-
과망간산법 결과보고서2025.05.131. 과망간산 칼륨 용액의 표준화 실험 결과 과망간산 칼륨 용액의 몰농도는 0.0199M로 나왔다. 처음에 만든 0.02M 용액과 0.0001M 차이가 나는데, 이는 과망간산 칼륨에 섞여있는 소량의 이산화망간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과망간산 칼륨의 순도는 99.37%로 계산된다. 2. 철광석 내 철 함량 분석 철광석 시료 0.350g을 산성 용액에 녹여 모든 철을 Fe2+로 환원시킨 후 과망간산 칼륨 표준 용액으로 적정하였다. 그 결과 철광석에 포함된 철의 무게 퍼센트는 53.7%로 계산되었다. 3. 옥살산 나...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