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5개
-
옴의 법칙을 이용한 회로 저항 측정2025.01.161. 옴의 법칙 이번 실험에서는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직렬 연결, 병렬 연결, 혼합 연결로 된 회로의 저항을 구하였다. 직렬 연결의 경우 저항의 덧셈으로 된 합, 병렬 연결의 경우 저항의 역수의 덧셈의 합을 통해 이론값을 구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와 이론값을 비교하여 오차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오차 발생 원인으로 전압계와 전류계의 내부 저항, 전선의 저항, 측정값의 변동 등을 확인하였다. 2. 회로 저항 측정 이번 실험에서는 키르히호프의 법칙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직렬 연결, 병렬 연결, 혼합 연결 회로의 전류와 저항값을 측정하였...2025.01.16
-
전기용량실험 레포트2025.01.121. 축전기의 구조와 역할 축전기는 기본적으로 도체로 된 두 개의 극판 사이에 유전체가 삽입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의 축전기에 전하 또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축전기의 전기용량은 금속판의 면적에 비례하고 금속판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2. 축전기의 연결 방식 축전기를 직렬로 연결하면 합성 전기용량의 역수가 각 전기용량의 역수의 합과 같아지며, 병렬로 연결하면 합성 전기용량이 각 전기용량의 합과 같아진다. 직렬 연결은 전압이 분배되고 병렬 연결은 전하량이 분배된다. 3. 실험 장치와 절차 실험에 사용된 장치...2025.01.12
-
[A+보고서] Floyd 회로이론실험결과레포트_ 20 커패시터2025.05.131. 커패시터 커패시터는 도체 두 개가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갈라져 마주 보는 형태로, 이 두 도체 사이에 전압이 가해지면 도체에는 전하(electric charge)가 모이게 된다. 이렇게 전하를 저장하는 능력이 커패시터의 기본 성질이다. 커패시터의 도체는 판(plate)이라고 하고, 절연체를 유전체(dielectric)라고 한다. 도체 판이 넓을수록, 두 도체 판 사이의 틈이 좁을수록 전하를 저항하는 능력인 커패시턴스가 커진다. 커패시터로 흐르는 전하는 커패시터의 전압의 크기가 전압 원의 전압과 같아질 때까지 쌓인다. 즉, 커패...2025.05.13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12025.05.15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Digital Multimeter를 이용한 저항(2-wire 측정법, 4-wire 측정법),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을 익히고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힌다. 측정 회로를 설계하고 실습을 통하여 확인한다. 2. 고정저항 측정 DMM을 사용하여 저항(10kΩ, 1/4W, 5% 30개)을 측정하고, 평균값과 오차 분포도, 표준편차를 구한다. 식스시그마에 대해 설명한다. 3. 병렬 연결 저항 측정 두 개의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여 측정하면 표준편차가 작아질 것이며, 이를 이론적으로 설명한다...2025.05.15
-
직렬 및 병렬 연결 결과보고서2025.05.161. 직렬 연결 전압이 V인 직류 전원에 N개의 저항들이 직렬로 연결되면 전류값은 하나이며, 전압상승과 강하를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직렬로 연결된 저항들은 하나의 저항 R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병렬 연결 병렬로 연결된 경우 모든 저항회로의 전압이 동일하므로 임의의 저항을 통과하는 전류는 V/R이 된다. 병렬로 연결된 모든 저항들의 전류를 합하면 전원으로부터 나온 전류와 같아야 한다. 3. 직병렬 혼합 연결 직렬과 병렬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 모든 회로가 직렬과 병렬로만 연결되지 않는다. 이 경우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와 전...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