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통신 방식 과제(CDMA, FDMA, TDMA)
본 내용은
"
데이터 통신 방식 과제(cdma, fdam, tdmd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30
문서 내 토픽
-
1.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FDMA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으로, 이동통신에서 주파수를 쪼개 다른 주파수로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는 데이터 통신 방식입니다. 전화나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아날로그 1세대 휴대폰, 택시회사 및 트럭 업체, 긴급 서비스업에서 이용하는 양방향 무선 시스템에서 이용되었습니다.
-
2.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는 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으로, 이동통신에서 시간대를 쪼개 다른 시간대에 같은 주파수로 데이터를 보내는 데이터 통신 방식입니다. 고정 슬롯 방식과 가변형 슬롯 방식이 있으며, 고정 슬롯 방식은 사용자에게 무조건 슬롯이 할당되는 방식이고 가변형 슬롯 방식은 사용자가 요구할 때에만 타임 슬롯을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디지털 이동전화에서 주로 이용되었습니다.
-
3.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으로, 이동통신에서 동시에 같은 주파수에서 데이터를 보내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에게 난수를 부여한 후 해당 데이터를 암호화해 구별하는 데이터 통신 방식입니다. C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에는 직접 시퀀스 방식, 주파수 도약 방식, 하이브리드 방식이 있습니다. 2세대 이동통신 휴대전화에 이용되었습니다.
-
1.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FDMA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술로,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의 채널로 나누어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통신할 수 있습니다. FDMA의 장점은 구현이 비교적 간단하고 안정적이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주파수 자원이 한정되어 있어 사용자 수가 증가할수록 채널 간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파수 대역폭이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데이터 요구량에 따른 유연성이 부족합니다. 따라서 FDMA는 음성 통신 등 저속 데이터 전송에 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OFDMA와 같은 개선된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
2.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는 시간 분할 다중 접속 기술로, 시간 슬롯을 나누어 각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TDMA의 장점은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사용자의 데이터 요구량에 따라 시간 슬롯을 유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시간 동기화가 필요하고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TDMA는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2G 및 3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
3.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기술로,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코드를 할당하여 동시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입니다. CDMA의 장점은 주파수 자원을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사용자 간 간섭이 적고 보안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코드 할당 및 동기화 문제, 셀 경계 간 간섭 등의 단점이 있습니다. CDMA는 3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LTE 등 4G 및 5G 네트워크에서 개선된 버전인 OFDMA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CDMA는 여전히 많은 통신 시스템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광통신] CDMA, FDMA, TDMA, WDMA 7페이지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코드분할 다중접속스펙트럼 확산 기술을 사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미국 표준의 하나부호분할다중접속이라고도 한다. 사용자가 시간과 주파수를 공유하면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AMPS)보다 수용 용량이 10배가 넘고 통화품질도 우수하다. 확산대역(spread-spectrum) 통신기술을 사용한 다중접속방식의 일종이다.확산대역통신이란 전송하려는 신호의 대역폭보다 훨씬 넓은 대역폭으로 신호를 확산시켜 전송하는 것으로, 신호의 전력밀도가 낮아지므로 신호의...2004.01.02· 7페이지 -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 개념, 필요성,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 시작, 관련용어,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 확산이득, 이동통신사 상용화계획,CDMA 트래픽불균형 15페이지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개념, 필요성,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시작, 관련용어,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확산이득, 이동통신사 상용화계획,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트래픽불균형 분석Ⅰ. 서론Ⅱ.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개념Ⅲ.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필요성Ⅳ.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시작Ⅴ.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관련용어1. 셀(Cell)2. 핸드오프(Handoff)3. 통화절단(Call Drop)4. 섹터(Sector)5. 주파수 재사용Ⅵ.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2013.08.07· 15페이지 -
[방통위] 이동통신기술 (1G,2G,2.5G,3G,4G,유비쿼터스,GSM,SMS,CDMA,TDMA) 36페이지
이동 통신 기술4G 의 표준화와 현재 이동 통신기술의 변화 1G,2G 3G 4G C O N C L U S I O N C O N T E N T S이동 통신기술의 변화 1G : 아날로그 이동통신 시대 [1984 ~ 1995 년 ] 1984 년 국내 최초 이동전화 상용화 - 이동 중에 전화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기술은 1984 년에 미국의 모토로라가 AMPS(Advanced Mobile Phone Systems) 라는 아날로그 방식의 카폰형 이동전화를 국내에 소개하면서 처음으로 선보임 . 2G : 디지털 모바일 시대 [1996 ~ 2001...2012.01.24· 36페이지 -
위성 이동전화 서비스의 개념 및 구축방안 7페이지
위성 이동전화 서비스의 개념개요유선망이나 이동통신 기지국을 세우기가 곤란한 지역인 사막이나 해양, 오지 등에서 통신을 사용하기 위해 지구의 대기권 내 위치한 인공위성을 통해 송수신하는 이동전화를 말한다.서비스 특징글로벌스타LG데이콤의 지분투자에 의해 국내 서비스 시작1414㎞의 지구궤도에 위치한 52기의 위성 사용CDMA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으로 실시간 음성과 데이터 전송이리듐SK텔레콤이 국내 사업 참여780㎞ 상공에 66기의 저궤도 위성을 사용FDMA(주파수분할다중접속)방식으로 통신을 제공현재 국내에서는 서비스 되고 있지 않음인...2011.01.13· 7페이지 -
이동통신,cdma,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23페이지
이동통신정의: 고정된 위치가 아닌 장소에서 이동 중에 무선으로 통신하는 방법.현재의 전화통신 방식은 고정된 위치에서 역시 고정된 위치에 있는 상대방을 호출하여 통신을 하는 방법이다. 물론 휴대용 무선전화가 있기는 하지만 특수한 목적이나 일정 지역 내에서의 통신에만 국한되어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호출하는 상대가 그 장소에 있지 않으면 통신이 불가능한 단점을 완전히 해소시킨 것이 이동통신이다. 즉 자동차?항공기?열차?선박과 같은 이동체(移動體)나 보행 중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 통신을 하거나 또는 고정된 위치에 있는 상대방과 통신을 할...2012.08.01· 2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