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 기본약물정리
본 내용은
"
ER 기본약물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27
문서 내 토픽
-
1. 항생제 분류항생제는 세대별로 분류되며, 페니실린계(1세대: 메타실린, 옥사실린, 암피실린 등), 세팔로스포린계(1-4세대: 세팔졸린, 세파클러, 쎄팍심, 세프타지딤 등), 마크로라이드계, 퀴놀론계(레보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테트라사이클린계(독시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등이 있다. 각 항생제는 특정 세균감염증 치료에 사용되며, 광범위 항생제는 여러 균에 효과적이다.
-
2. 해열진통소염제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의 NSAIDs가 해열·진통·소염 작용을 한다. 트라마돌은 비마약성진통제로 아세트아미노펜과 함께 사용된다. 이들 약물은 감기, 비염 등의 증상 완화에 사용되며, NSAIDs 투여로 인한 위염 예방이 필요하다.
-
3. 위장관계 약물정장제는 변비, 설사, 과민성대장증후군 개선에 사용된다. 소화성궤양용제, H2차단제, PPI 등은 위산분비를 억제하고 위점막병변을 개선한다. 위장운동조절 진경제는 위경련, 기능장애, 과민성대장증후군을 개선하며, 진토제는 구역·구토를 완화한다.
-
4. 항히스타민제 및 감기약2세대 항히스타민제와 1세대, 3세대 항히스타민제는 비염·감기·비염 치료에 사용된다. 진해거담제는 기침·감기약으로 아세틸시스테인, 뮤코로솔 등이 포함되며, 기관지확장제와 함께 호흡기 증상을 완화한다.
-
1. 항생제 분류항생제 분류는 의약학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항생제는 작용 기전, 화학 구조, 항균 범위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며, 이러한 분류는 임상 치료에서 올바른 약물 선택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베타-락탐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마크로라이드계 등의 주요 분류는 각각 고유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항생제 내성 문제가 심화되는 현대에서 항생제의 적절한 분류와 이해는 감염병 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고 내성 발생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의료 전문가들은 환자의 감염 원인, 감수성 검사 결과, 약동학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
2. 해열진통소염제해열진통소염제는 일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의약품 중 하나입니다.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 효능과 부작용 프로필이 다릅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발열, 통증, 염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하지만, 장기간 사용 시 위장관계 문제, 신장 손상, 간독성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령자나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신중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올바른 용량과 사용 기간을 준수하고, 필요시 의료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안전한 사용의 핵심입니다.
-
3. 위장관계 약물위장관계 약물은 소화기 질환의 치료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제산제,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프로톤펌프 억제제 등은 위산 분비를 조절하여 위궤양, 역류성 식도염 등을 치료합니다. 또한 소화효소제, 정장제, 항구토제 등은 소화 기능을 개선하고 위장관 증상을 완화합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일반적으로 안전하지만, 장기 사용 시 영양소 흡수 저하, 약물 상호작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장관계 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생활 습관 개선과 함께 약물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
4. 항히스타민제 및 감기약항히스타민제와 감기약은 알레르기 질환과 감기 증상 완화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1세대 항히스타민제는 빠른 효과를 보이지만 졸음을 유발하는 반면, 2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선택성이 높아 부작용이 적습니다. 감기약은 해열진통제, 항히스타민제, 기침 억제제 등이 복합 구성되어 있으며, 증상에 맞는 선택적 사용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이므로 항생제는 효과가 없으며, 대증 치료가 주가 됩니다. 과다 복용이나 부적절한 약물 조합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약사나 의사의 지도 하에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성인간호학실습-SOAPLE 1개,간호네러티브 1개 3페이지
간호과정 (SOAPLE)S 주관적자료-“좀 부은거 같아 ”-“소변도 예전보다 안나와 ”O 객관적자료-주호소 :오심/구토-Na 검사수치 :125, 129, 124, 126-K 검사수치 : 3.4, 2.5, 2.9-I/o날짜3/53/63/73/8Input-output84010809601010-BUNBUN122595934-다리부종 (+)-약물 엔테롤정 처방.A 사정신기능장애와 관련된 체액과다P 계획1.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한다.2. 대상자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3. 대상자에게 수분섭취제한과 저염분 식이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4...2023.04.04· 3페이지 -
Elsevier 아동간호학 간질중첩증 Status epilepticus 사례연구(Case Study) (A+성적인증 O) 19페이지
아동간호사례연구 Case Study간질중첩증Status epilepticusA+ 레포트 (인증O)간호과정 적용 사례 연구 보고서 서식제출자 학번 이름1. 환자소개환자명Jakson Weber나이(출생년월일)5yr (2017.02.14.) / 34개월성별M의학적 진단명간질중첩증(Status epilepticus)입원일ER 2022.06.08.질병과정일반적인 tonic-clonic seizures를 겪는 환자로, ER 방문 전 집에서 12시간동안 총 4번의 seizures를 겪고 내원하였다.아동 보호자 진술상 첫 번째~세 번째 seizu...2024.08.28· 19페이지 -
성인간호학 급성담관염 Acute cholangitis 사례연구보고서 케이스 스터디 16페이지
Case study가. 자료수집A. 일반 정보- 이름: 최OO- 성별: 남- 나이: 50- 직업: 자영업- 결혼유무: 사별- 자녀: 아들- 종교: 카톨릭- 교육정도: 대학- 경제상태: 응답 원치않음B. 건강력- 입원일: 2022.3.8입원 경로: 응급센터입원 방법: 눕는 차- 주 증상: 복통- 진단명: Acute cholangitis 급성 담관염- 입원동기와 현병력: 내원 당일 오후 1시부터 지속된 쥐어짜는 듯한 양상의 upper abd. pain으로 의정부백병원에서 R/O acute cholangitis 진단받고 ER 내원- ER...2024.04.11· 16페이지 -
아동간호 구로우리아이들 병원 실습일지 소감문 5개 5페이지
실습일시 2023년 8월 21일 월요일 실습기관?병동 구로 우리아이들병원 4층 병동 실습 활동 내용 일과 요약 14 : 00 ~ 14 : 30 인수인계 15 : 00 ~ 16 : 00 간호수행 관찰 및 물품정리 18 : 00 ~ 19 : 00 저녁식사 19 : 00 ~ 21 : 00 라운딩 관찰 학습한 핵심간호 혹은 임상상황 병동에 처음 도착해서 한 일은 인수인계 관찰이고 그다음엔 활력징후 측정이다. 인수인계를 통해 환아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선생님들의 배려로 의자를 가지고 와서 앉아서 들었는데 처음으로 앉아서 인...2024.09.08· 5페이지 -
급성골수성 백혈병 케이스 33페이지
통합간호 실습caseAML(acute myeloid leukemia)제출일전공간호학과과목통합간호실습담당교수실습지학번/이름- AML(acute myeloid leukemia) -Ⅰ. 서론1.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p. 1-71) AML(acute myeloid leukemia)의 정의2) AML(acute myeloid leukemia)의 원인 및 병태생리3) AML(acute myeloid leukemia)의 증상4) AML(acute myeloid leukemia)의 진단 및 검사5) AML(acute myeloid leukem...2023.04.20· 3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