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자식성 작물 및 타식성 작물 비교
본 내용은
"
주요 자식성 작물 및 타식성 작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1
문서 내 토픽
-
1. 자식성 작물자식성 작물은 자가수정을 통해 번식하는 작물들입니다. 주요 자식성 작물에는 벼, 밀, 보리, 귀리, 기장, 조, 수수 등의 곡류와 대두, 땅콩, 렌틸콩, 완두, 강낭콩, 팥, 동부 등의 두류가 있습니다. 또한 토마토, 가지, 고추, 담배, 아마, 참깨, 목화, 서양유채, 상추, 감자, 커피 등도 자식성 작물에 해당합니다. 이들 작물은 일반적으로 암술과 수술이 모두 발달되어 있어 자가수정이 가능합니다.
-
2. 타식성 작물타식성 작물은 다른 개체의 꽃가루로 수정되는 작물들입니다. 주요 타식성 작물에는 시금치, 삼, 호프, 아스파라거스, 파파야, 옥수수, 감, 딸기, 호박, 호두, 오이, 수박, 양파, 마늘, 셀러리, 호밀, 양배추, 배추, 무, 뽕나무, 차, 메밀, 고구마, 사과, 배, 은행, 당근, 알팔파, 해바라기 등이 있습니다. 타식성 작물은 자가불화합성이나 암수딴꽃 등의 특성으로 인해 타식이 필요합니다.
-
3. 작물의 염색체 수작물의 염색체 수(2n)는 종에 따라 다양합니다. 벼는 2n=24, 밀은 2n=42, 옥수수는 2n=20, 감자는 2n=48, 목화는 2n=52 등으로 나타납니다. 일부 작물은 배수체로 존재하기도 합니다. 염색체 수는 작물의 유전적 특성과 번식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4. 작물의 생식기관 구조작물의 수술 수와 암술 수는 작물의 생식 특성을 나타냅니다. 자식성 작물은 일반적으로 수술과 암술이 모두 발달되어 있어 자가수정이 가능합니다. 타식성 작물 중 일부는 암술대가 4개인 시금치처럼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일부는 수술이나 암술이 발달하지 않은 암수딴꽃 형태를 보입니다.
-
1. 자식성 작물자식성 작물은 같은 개체 내에서 자가수분이 가능한 작물로, 벼, 밀, 콩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작물들은 유전적 순수성을 유지하기 쉽고, 안정적인 수확량을 보장하며, 육종 프로그램에서 순계 개발이 용이합니다. 자식성 작물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높고, 종자 생산 비용이 낮아 농민들에게 경제적 이점을 제공합니다. 다만 유전적 다양성이 제한되어 병해충 저항성 개선이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 현대 농업에서 자식성 작물의 안정성과 효율성은 식량 안보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2. 타식성 작물타식성 작물은 다른 개체와의 교배를 통해 번식하는 작물로, 옥수수, 해바라기, 배추 등이 해당됩니다. 이러한 작물들은 교배를 통해 높은 잡종강세를 나타내어 수확량과 품질이 우수합니다. 유전적 다양성이 풍부하여 병해충 저항성과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고, 신품종 개발에 유리합니다. 그러나 종자 생산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매년 새로운 종자를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있습니다. 타식성 작물의 잡종강세는 현대 농업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
3. 작물의 염색체 수작물의 염색체 수는 종의 진화, 유전적 특성, 그리고 번식 능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배체 작물은 안정적인 감수분열을 통해 정상적인 종자를 생산하며, 사배체나 육배체 같은 배수체 작물은 더 큰 과실과 높은 생산성을 보입니다. 염색체 수의 변화는 자연적 돌연변이나 인위적 유도를 통해 발생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품종 개발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밀은 육배체, 딸기는 팔배체입니다. 염색체 수 분석은 작물 육종과 품종 개선에 필수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4. 작물의 생식기관 구조작물의 생식기관 구조는 꽃의 형태, 수술과 암술의 배치, 그리고 수분 방식을 결정합니다. 완전화는 수술과 암술을 모두 가져 자가수분이 가능하며, 불완전화는 한쪽만 발달하여 타식을 유도합니다. 생식기관의 구조적 특징은 작물의 번식 전략과 진화 과정을 반영합니다. 화분의 크기, 암술대의 길이, 자방의 위치 등은 수분 효율성과 종자 생산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현대 육종에서는 생식기관 구조를 분석하여 자동화된 교배 기술을 개발하고, 원하는 형질을 가진 신품종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
작물의 유전성 13페이지
작물의 유전성1. 종, 생태종, 생태형, 품종, 계통, 순계 및 영양계의 뜻을 설명하라.① 종(種): 종은 식물을 불류할 때의 기본단위로서 같은 유전형질을 나타내는 개체군의 포 괄집단이다.② 생태종 (生態種): 같은 종에 속하지만 사는 곳이 달라서 다른 형태나 성질을 가진 종이 다. 하지만 종 분화까지는 일어나지 않아서, 서로 교배가 가능하다.③ 생태형 (生態型): 동일종인 생물개체군이 각각의 서식환경에 적응, 분화된 형질이 유전 적으로 고정되어 생긴 형.④ 품종 (品種): 우수성·균일성·영속성 등이 유전적으로 보존되어 고유의 특성...2009.12.04· 13페이지 -
가축개량, 품종개량, 지반개량, 미생물의 형질개량, 개량특허기술, 개량 벌통, 독일의 개량주의 분석(가축개량, 품종개량, 지반개량, 미생물의 형질개량, 개량특허기술, 개량 벌통, 독일의 개량주의, 개량) 21페이지
가축개량, 품종개량, 지반개량, 미생물의 형질개량, 개량특허기술, 개량 벌통, 독일의 개량주의 분석Ⅰ. 가축개량1. 가축의 육종기술2. 품종의 기원3. 교배법의 장, 단점1) 순수교배2) 근친교배3) 계통교배4) 품종간 교배(이품종교배)4. 가축개량의 과학화1) 형질전환 가축생산기술의 발달2) 형질전환 가축의 필요성Ⅱ. 품종개량1. 방법2. 성과Ⅲ. 지반개량1. SCP공법(Sand Compaction Pile)2. 전기충격공법3. 약액주입공법4. 치환공법5. 재하공법6. Sand Drain 공법1) Sand mat2) Sand pi...2010.11.08· 21페이지 -
[식물]육종의 방법 8페이지
육종의 방법과 성과?육종이란?1.육종▷육종(育種:Breeding)이란 농작물이나 가축이 가진 유전적 성질을 개량하여 농업상에 유익한 신종(新種) 또는 신품종을 만들어 내어 그것을 증식시키는 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종전부터 있었던 작물 품종이나 가축 품종에 대하여 그 뒤떨어진 유전적 특징을 개량하는 예가 많으므로 품종 개량이라고도 하지만 육종은 좀 더 넓은 의미를 가진다. 육종은 새로운 품종, 신종 즉 신형(新型)을 창조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육종은 인류가 농작물의 재배나 가축의 사양을 시작함과 동시에 시작되었다고 할 ...2007.07.16· 8페이지 -
[원예]원예작물 20페이지
원예작물1. 채소원예의 이해채소의 정의 - 신선한 상태로 이용되며, 주로 부식 또는 간식으로 쓰이는 수목이외의재배식물이다.딸기, 토마토, 버섯류, 죽순, 두릅나무 등도 채소이다.채소원예 - vegetable gardening, olericulture.채소의 식품적 가치 - 무기질 급원, 비타민 급원, 알칼리성 식품, 보건적 가치가 크다.기호적 기능이 있다, 약리적 효능이 있다.황색색소 - 카로틴 - 당근, 호박, 토마토.크립토크산틴 - 옥수수.적색색소 - 리코핀 - 토마토, 수박.캅산틴 - 고추.기능성 물질 - 고추 - 캅사이신 -...2007.02.17· 20페이지 -
[인간과식량] 식량자원육종 22페이지
Ⅰ 서론국제연합은 2030년의 세계인구는 85-91억 명(World Watch 연구소는 89억 명으로 예측)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는 2020년까지의 곡물부족량을 228백만 톤으로 추정하였으며 이것은 부족량 94백만 톤보다 2배가 넘는 양으로서 특히 아프리카와 남아시아지역 등에서는 심각한 식량난을 겪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특히 이 연구소는 세계식량수급의 불안요인으로서 곡물재고가 안전수준을 밑돌고 있는 점, 엘니뇨 등의 기상이변, 농업용수의 감소, 농지감소와 토양오염 등에 의한 생산량 감소, 인구...2003.06.16· 22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