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SBAR 임상 사례 6가지
본 내용은
"
간호) SBAR 6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3
문서 내 토픽
-
1. 저혈당 위기 (Hypoglycemia Crisis)제1형 당뇨 진단 6개월 된 24세 남성 환자가 5시간 금식 후 ER 내원. 창백한 얼굴, 가슴 두근거림, 두통 호소. 혈당 33mmol/L로 측정되고 말씨 흐림, 비이성적 행동 보임. V/S 150/70-37℃-90-19. 저혈당성 위기 의심되어 50ml glucose 50% in water slow IV bolus 투여 후 혈액검사 재시행 권장.
-
2. 호흡곤란 (Dyspnea)79세 남성 환자, COPD 과거력 있음. Lobectomy 수술 후 호흡수 30회로 증가, dyspnea 호소. 수술 전 V/S 120/70-37℃-83-20, spo2 100%에서 현재 V/S 130/70-37.7℃-136-30, spo2 89%로 저하. 단순 안면 마스크로 산소 6L/min 공급 중, 피부 차갑고 축축하여 warming 진행 중.
-
3. 급성 통증 (Acute Pain)79세 남성 환자, lobectomy 수술 후 회복실에서 경과 관찰 중. 전신마취 상태에서 수술 진행 후 지속적 통증 호소. PCA 신청되었으나 환자 거부. V/S 130/80-37.5℃-92-21, spo2 94%, NRS 8점, FPRS 4점. 아세트아미노펜 투여 검토 중.
-
4. 가슴 통증 및 심실세동 (Chest Pain & Ventricular Fibrillation)51세 환자, 집에서 흉통, 발한, 호흡곤란 발생하여 ER 입원. 급성 심근경색 진단. 정규 X-ray, CT 촬영 후 ECG상 심실세동 확인되어 AED로 심장 제세동 시행, 1회만에 리듬 회복. 현재 ROSC 상태, V/S 120/70-37℃-81-12, spo2 97%, O2 4L/min Nasal cannula 공급 중.
-
5. 모르핀 부작용으로 인한 호흡저하42세 여성 환자, 전복부 자궁적출술 및 양측 난관, 난소 절제술 수술 후 통증으로 모르핀 투여. 투여 전 호흡수 21회, spo2 95%에서 투여 후 호흡수 8회로 저하, spo2 92%, 의식상태 무의식. BP 120/70, PR 90회. 호흡저하 응급 상황으로 추가 산소 제공 및 약물 처방 필요.
-
6. 고혈압 및 폐색전증 의심 (Hypertension & Pulmonary Embolism)65세 남성 환자, 장천공으로 hemicolectomy 수술 후 혈압 상승. 수술 후 V/S 150/80-37.1℃-106-24. ECG 모니터링 결과 폐 고혈압 징후, 동성빈맥 보임. BP 160/90mmHg, PR 110회/min, 호흡 24회, spo2 91%. 폐색전증 의심되어 chest x-ray, CT 검사, 12 lead-ECG 긴급 촬영 필요.
-
1. 저혈당 위기 (Hypoglycemia Crisis)저혈당 위기는 당뇨병 환자에게 가장 위험한 응급 상황 중 하나입니다. 혈당이 급격히 떨어지면 뇌 기능이 손상되어 의식 상실, 경련, 심지어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신속한 대응이 필수적이며, 의식이 있는 경우 포도당이나 단순 탄수화물을 섭취하고, 의식이 없으면 글루카곤 주사를 투여해야 합니다. 예방이 가장 중요하므로 정기적인 혈당 모니터링과 약물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환자와 보호자 모두 저혈당 증상을 인식하고 대처 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
2. 호흡곤란 (Dyspnea)호흡곤란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증상으로, 심장 질환, 폐 질환, 감염, 불안 등이 포함됩니다.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원인을 신속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소 포화도 측정, 흉부 X선, 심전도 등의 진단 검사가 필요합니다. 응급 상황에서는 산소 공급과 함께 원인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만성 호흡곤란 환자는 정기적인 의료 관리와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합니다.
-
3. 급성 통증 (Acute Pain)급성 통증은 신체의 손상이나 질병을 알리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적절한 통증 관리는 환자의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필수적입니다. 통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치료를 제공해야 하며, 약물 치료와 비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과도한 진통제 사용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환자의 통증 수준을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치료 계획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가슴 통증 및 심실세동 (Chest Pain & Ventricular Fibrillation)가슴 통증은 심근경색, 협심증 등 생명을 위협하는 심장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심실세동은 심장이 비효율적으로 수축하는 위험한 부정맥으로, 즉시 제세동이 필요합니다. 가슴 통증이 발생하면 신속히 응급실을 방문해야 하며, 심실세동 환자는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사용이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심장 질환의 위험 요소를 관리하고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모르핀 부작용으로 인한 호흡저하모르핀은 강력한 진통제이지만 호흡 억제는 심각한 부작용입니다. 특히 고용량 투여나 장기 사용 시 호흡 중추를 억제하여 저산소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모르핀 투여 환자는 산소 포화도와 호흡 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호흡저하가 발생하면 나록손(naloxone)으로 길항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용량을 신중히 결정하고, 호흡 억제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6. 고혈압 및 폐색전증 의심 (Hypertension & Pulmonary Embolism)고혈압과 폐색전증은 각각 다른 질환이지만 함께 나타날 수 있으며, 두 질환 모두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은 장기적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이며, 폐색전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입니다. 폐색전증이 의심되면 즉시 진단 검사(CT 폐혈관조영술 등)를 시행하고 항응고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고혈압 환자는 혈전 위험이 높을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예방 조치가 중요합니다.
-
A+) 간호관리학 실습 지침서 - 간호전달체계, SBAR, 리더십, 간호윤리1. 간호관리학 실습 지침서 실습 기관의 비전, 목적, 철학 및 목표를 살펴보고 간호부서의 비전, 목적, 철학 및 목표와 비교하였다. 실습 간호단위의 구조, 병상 수, 간호인력의 종류와 수, 간호사의 직무기술서, 근무조별 업무 등을 확인하였다. 간호전달체계의 종류와 장단점, 환자분류도구 사용 방법과 목적, 적정 간호인력 산정 방법 등을 살펴보았다. 2. 간...2025.01.19 · 의학/약학
-
전문직 간호실무의 핵심역량과 나의 노력할 점1. 환자 중심의 간호 환자 중심의 간호는 간호과정을 통해서 제공되고, 간호계획의 형태로 작성된다. 간호과정은 환자의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 문제해결법이자 간호실무의 기반으로서 간호사가 환자에게서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지식, 판단, 행동의 체계를 제공한다. 표준 간호 용어를 사용하여 환자간호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환자결과에 미치는 간호의 영향...2025.05.04 · 의학/약학
-
간호관리학 SBAR 5개 논문 정리 (목차별로 통합 정리) 6페이지
간호관리학 Report- 간호사 의사소통 관련 논문 요약 -목차Ⅰ. 서론Ⅱ. 본론1. 선정한 주제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2. 임상현장에서 현재 상황/ 문제의 발견3.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4.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5. 활동에 대한 결과Ⅲ. 결론Ⅳ. 참고문헌Ⅰ. 서론의사소통은 간호사가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와 동료간호사, 의사, 약사 등의 다양한 직종과의 협력관계를 형성하여 재원 기간 및 간호계획을 수립하거나 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기에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국제 의료기관 평가 위원회에서도 병원 내 의료인들 ...2022.03.22· 6페이지 -
A+ 간호사의 협력 및 조정관련 논문(의사소통, SBAR, 협력, 갈등관리 등) 5편을 읽고 요약정리 8페이지
간호관리학 Ⅰ개인 과제-SBAR프로그램이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과 목간호관리학 Ⅰ담당교수님학 번이 름제 출 일목차Ⅰ. 서론3Ⅱ. 본론31. 연구 설계2. 연구 대상자3. 연구도구4. 연구 방법 및 절차Ⅲ. 연구결과4Ⅳ. 논의5Ⅴ. 결론6Ⅵ. 느낀점7참고문헌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의사소통은 간호사가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 및 다양한 직종과의 협력관계를 형성하여 성공적인 간호 중재를 이끄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간호사와 의사는 환자 치료에서 빈번한 상호작용과 협력이 이루어지는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두 직종 간에는 의사...2024.11.18· 8페이지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동안 적용한 SBAR 보고교육이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만족도, 보고자신감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논문 요약 5페이지
Ⅰ.서론연구의 필요성최근 안전하고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간호 대학생은 학습과정이 끝나기 전에 의사소통 능력을 준비하고 평가할 필요가 있다. 간호 대학생은 이론적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여 충분한 임상적 단서와 자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상태를 단순 보고하는 등 불충분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SBAR(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 의사소통 강의식 교육, 실...2022.03.31· 5페이지 -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관련 논문 요약정리 (간호관리학) 7페이지
간호사의 의사소통 관련 논문 요약정리과목명간호관리학1교수님제출일학년/반학번이름목 차Ⅰ. 서론1. 연구필요성12. 연구목적1Ⅱ. 연구방법1. 연구설계방법12. 연구대상13. 연구도구24. 연구 진행 절차25. 자료수집 및 연구의 윤리적 측면36. 자료분석방법3Ⅲ. 연구결과3Ⅳ. 연구논의4Ⅴ. 결론 및 제언4Ⅵ. 연구논문을 조사 후 느낀 점5-연구논문 제목-“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인수인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의 효과: 신규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신나연.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지. 제6권 제2호(2018): 57-68Ⅰ. 서론1. ...2022.12.04· 7페이지 -
아동간호학 치료적 의사소통, SBAR 포함 교수님극찬!!! 12페이지
치료적 의사소통술 적용 보고서< 목 차 >Ⅰ. 문헌고찰 1~3Ⅱ. 임상실습 중 의료진과 환자 및 보호자와의 언어적, 비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사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4Ⅲ. 위의 사례에서 언어적, 비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이 잘 된 부분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5Ⅳ. 치료적 의사소통이 잘 되지 못해 문제가 발생한 사례를 대화형으로 기술하고, 원인 분석 및 방안을 제시하시오. 6~71. 사례 62. 원인분석 73. 치료적 의사소통 방안 제시 7Ⅴ. SBAR를 이용한 의사소통 8~9Ⅵ. 참고문헌 10의사소통 정의의사소통(Commun...2024.03.18· 12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