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5. Hemocytometer를 이용한 세포 수 산정
본 내용은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5. Hemocytometer를 이용한 세포 수 산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9
문서 내 토픽
  • 1. Hemocytometer를 이용한 세포 수 산정
    이번 실험에서는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 부유액에 있는 세포의 수를 현미경으로 측정하여 단위 세포수를 계산해보았다. Hemocytometer는 혈액 속의 혈구의 개수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만들어진 도구로, 사각형 모양의 슬라이드와 유리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Cell counting은 현미경을 통해 보았을 때 1 mm2인 정사각형의 격자무늬 안에 있는 세포의 수를 계산하고 4개를 평균치 내어 평균치 X를 도출하였다. 이후 희석배수를 포함한 2104을 곱하여 1 mL에 존재하는 cell의 수를 구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세포 부유액의 밀도가 0.5, 1, 1.5로 증가할수록, hemocytometer로 계산한 세포 개수 역시 32104, 39104, 81104으로 증가했다. 이를 통해 세포 밀도와 세포 개수는 비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죽은 세포의 비율은 세포 부유액의 밀도가 0.5, 1, 1.5 mL일 때, 각각 0, 20.5, 9.9%였다. 30분 이후 측정한 결과로는 25, 82.1, 19.6%였다. 완전히 비례하여 증가하는 형태는 아니지만, 밀도가 0.5 mL일 때에 비해 1, 1.5 mL일 때 죽은 세포의 비율이 더 큰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Hemocytometer를 이용한 세포 수 산정
    Hemocytometer는 세포 수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이 방법은 세포 배양, 면역학 실험, 약물 스크리닝 등 다양한 생물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Hemocytometer를 이용한 세포 수 산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첫째, 정확성이 높습니다. 정해진 부피의 세포 현탁액을 계수하여 세포 밀도를 계산하므로 정량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둘째, 간단하고 저렴합니다. 현미경과 Hemocytometer만 있으면 세포 수를 쉽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셋째, 다양한 세포 종류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동물 세포, 식물 세포, 미생물 등 다양한 세포에 대해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에는 몇 가지 단점도 있습니다. 첫째, 숙련도에 따라 결과의 편차가 크다는 점입니다. 세포 현탁액의 균일한 분산, 정확한 부피 측정, 현미경 관찰 등 여러 단계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둘째,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입니다. 여러 개의 구획을 관찰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셋째, 소량의 세포 현탁액만 측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대량의 세포 배양액을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Hemocytometer는 세포 수 측정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정확성, 간편성, 범용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여전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활용되고 있습니다. 향후 자동화 기술의 발전으로 이러한 단점들이 보완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