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1개
-
필요한 이유 나의견해2024.10.011. 의료행위에 관한 설명의무와 동의 1.1. 의사 등의 설명의무 1.1.1. 설명의무의 내용 의사 등의 설명의무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는 사람의 생명 또는 신체에 중대한 위해를 발생하게 할 우려가 있는 수술, 수혈, 전신마취 등의 의료행위를 하는 경우 환자에게 ① 환자에게 발생하거나 발생 가능한 증상의 진단명, ② 수술 등의 필요성, 방법 및 내용, ③ 환자에게 설명을 하는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 및 수술 등에 참여하는 주된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의 성명, ④ 수술 등에 따라 전형적으...2024.10.01
-
의료법사례분석2024.10.031. 보건의료 법규 관련 사례 분석 1.1. 관련 사례 1.1.1. 서울 산부인과 병원 사건 지금으로부터 10년 전인 2012년 서울의 한 산부인과 병원 원장인 A씨가 사망한 지인의 시신을 한강에 유기한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지인은 일명 '우유주사'를 맞기 위해 A씨 병원을 방문하였다. A씨는 향정신성의약품 미다졸람과 전신마취제 프로포폴 등을 섞어 불법 투여했다. 지인은 약물 부작용으로 호흡정지가 와 사망했고, 당황한 A씨는 지인의 시신을 차량에 실어 한강공원 주차장에 버려두고 도주했다. 이후 경찰 수사가 시작되자 자수를 한 ...2024.10.03
-
법적 윤리 쟁점 보고서 여성 실습2024.08.261. 서론 성의 상품화, 어린이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음란 동영상,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성교육에 현대사회의 성에 대한 인식은 갓길로 빠지는 듯하다. 또한 사회적 분위기로 성경험이 점점 빨라지고 있고 낙태는 점점 스스럼없이 행해지고 있다. '낙태'는 법과 현실의 괴리가 가장 두드러진 사회문제라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대한민국에서는 낙태라 법으로 금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낙태천국이라는 수식어가 붙을 정도로 불법적인 낙태가 행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오랫동안 찬반으로 나뉘어 치열한 토론의 주제가 되기도 하고 논란의 여지가 많은 이 ...2024.08.26
-
보건의료법규 의료사고 대법원 판례 요약 및 발전 방향2024.11.201. 간호실무의 법적 기준 1.1. 사건 개요 피고인들은 서울대병원 간호사이다. 2005. 11. 2. 20:15경 피고인들이 근무하는 위 병원 일반병실에 췌두 십이지장 절제술을 받은 피해자 공소외 2(여, 76세)가 회복실을 거쳐 입원하였다. 췌두 절제 수술을 한 환자의 경우 합병증으로 '췌장 문합부 유출에 따른 출혈'이 있을 수 있으므로 피해자를 간호함에 있어서는 내출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활력징후를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주치의인 공소외 1이 피해자에 대하여 혈압, 맥박 등 "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측정하고, 수축기...2024.11.20
-
간호사의 법적의무와 법적책임과 관련한 사례조사2024.11.201. 간호 업무의 법적, 윤리적 쟁점 및 사례 분석 1.1. 의료사고 및 의료분쟁의 개요 의료사고란 보건의료인이 환자에 대하여 실시하는 진단·검사·치료·의약품의 처방 및 조제 등의 행위로 인하여 환자의 생명·신체 및 재산에 대하여 피해가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이는 입원 중 낙상사고, 투약오류, 수술 실수 등 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고를 포함한다. 한편, 의료분쟁은 의료사고로 인하여 환자나 보호자 측과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 사이에 상호 이해와 신뢰가 상실되어 다툼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즉, 의료사고가 발생한 후...2024.11.20
-
보건의료법규 의료사고 대법원 판례 요약 및 발전 방향2024.11.231. 서론 1.1. 의료인, 의료인의 업무, 의료인의 자격 의료인은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은 의사·치과의사·한의사·조산사 및 간호사를 말한다. 의료인은 종별에 따라 의료와 보건지도, 치과 의료와 구강 보건지도, 한방 의료와 한방 보건지도, 조산과 임산부 및 신생아에 대한 보건과 양호지도, 환자의 간호요구에 대한 관찰·자료수집·간호판단 및 요양을 위한 간호, 의사·치과의사·한의사의 지도 하에 시행하는 진료의 보조, 간호 요구자에 대한 교육·상담 및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의 기획과 수행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의사가 되려는 자는...2024.11.23
-
보건의료법규 의료사고 판례 분석 및 발전 방향2024.11.231. 서론 1.1. 의료인, 의료인의 업무, 의료인의 자격 의료인은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은 의사ㆍ치과의사ㆍ한의사ㆍ조산사 및 간호사를 말한다. 의료인은 종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임무를 수행하여 국민보건 향상을 이루고 국민의 건강한 생활 확보에 이바지할 사명을 가진다. 의사는 의료와 보건지도를 임무로 하고, 치과의사는 치과 의료와 구강 보건지도를 임무로 한다. 한의사는 한방 의료와 한방 보건지도를 임무로 하며, 조산사는 조산과 임산부 및 신생아에 대한 보건과 양호지도를 임무로 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간호요구에 대한 관찰, ...2024.11.23
-
간호업무관련 판례2024.11.211. 의료사고와 간호사 과실 1.1. 의료분쟁의 정의 의료분쟁이란 보건의료인(규제「의료법」 제27조제1항 단서 또는 규제「약사법」 제23조제1항 단서에 따라 그 행위가 허용되는 자를 포함)이 환자에 대하여 실시하는 진단·검사·치료·의약품의 처방 및 조제 등의 행위(이하 "의료행위등"이라 함)로 인하여 사람의 생명·신체 및 재산에 대하여 피해가 발생한 경우의 다툼을 의미한다."" 1.2. 간호사의 업무 간호사의 업무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의 간호요구에 대한 관찰, 자료수집, 간호판단 및 요양을 위한 간호를 수행한다. 간호사는 ...2024.11.21
-
대법원 의료사고 판례2024.11.191. 간호실무의 법적기준 1.1. 사건 개요 피고인들은 서울대병원 간호사이다. 2005. 11. 2. 20:15경 피고인들이 근무하는 위 병원 일반병실에 췌두 십이지장 절제술을 받은 피해자 공소외 2(여, 76세)가 회복실을 거쳐 입원하였다. 췌두 절제 수술을 한 환자의 경우 합병증으로 '췌장 문합부 유출에 따른 출혈'이 있을 수 있으므로 피해자를 간호함에 있어서는 내출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활력징후를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주치의인 공소외 1이 피해자에 대하여 혈압, 맥박 등 "활력징후를 1시간마다 측정하고, 수축기 ...2024.11.19
-
보건의료법규 의료사고 판례 분석2024.11.241. 서론 1.1. 의료인, 의료인의 업무, 의료인의 자격 "의료인은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은 의사ㆍ치과의사ㆍ한의사ㆍ조산사 및 간호사를 말한다. 의료인은 종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하여 국민보건 향상을 이루고 국민의 건강한 생활 확보에 이바지할 사명을 가진다. 의사는 의료와 보건지도를 임무로 한다. 치과의사는 치과 의료와 구강 보건지도를 임무로 한다. 한의사는 한방 의료와 한방 보건지도를 임무로 한다. 조산사는 조산과 임산부 및 신생아에 대한 보건과 양호지도를 임무로 한다. 간호사는 다음과 같은 업무를 임무로 한다:...202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