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6개
-
동정맥루 관리2025.06.171. 동정맥루 및 동정맥이식 1.1. 동정맥루 동정맥루는 체내의 동맥과 정맥을 외과적으로 연결한 것이다. 압력이 센 동맥혈이 정맥내로 흘러들어가 정맥혈관을 굵어지게 하여 투석 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수술 후 1~2개월 동안 성숙되는 기간을 거친 후 사용하게 된다. 주로 손목 부위(radio-cephalic AV fistula)나 주관절 부위(brachial-cephalic AV fistula)에서 동정맥루 수술을 시행한다. 적절한 동정맥루 형성이 어려운 경우에는 인조혈관을 사용하는 동정맥이식 수술을 한다. 인조혈관은 당뇨나 ...2025.06.17
-
투석 간호진단2025.06.171. 투석 간호진단 1.1. 신장의 배설장애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신장의 배설장애와 관련된 영양불균형이다. 신장 기능의 저하로 인해 질소성 노폐물과 전해질의 배설 장애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음식 섭취가 불편해지고 식욕부진이 나타나며, 결과적으로 영양불균형 상태에 놓이게 된다. 특히 신부전 환자는 요독증으로 인해 음식 맛의 변화가 일어나 식욕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충분한 칼로리와 단백질 섭취가 어려워지며, 생리적 욕구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진다. 따라서 영양불균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체중, 혈청 알부...2025.06.17
-
만성신부전 간호과정 분석2025.05.1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만성신부전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신장 기능이 손상을 입은 후, 회복되지 못한 채 계속 진행되는 상태이다. 만성신부전이 진행되어 말기 신부전이 되면 신장이 제 기능을 못하게 되어 다양한 전신적인 문제를 발생시킨다. 만성신부전의 주된 원인은 당뇨병성 신증(34%), 고혈압성 질환(29%), 사구체 신염(12%)이다. 반복되는 감염과 콩팥염 악화, 요로계 폐색, 전신 질환, 오랜 기간의 고혈압이나 당뇨병으로 인한 혈관 파괴 등이 콩팥의 기능을 서서히 저하시킨다. 만성신부전은 수개월에서...2025.05.13
-
동정맥루 케이스2025.05.101. 서론 1.1. 사례 소개 대상자 권O O는 내과와 흉부외과에서 치료받고 있는 환자이다. 환자는 현재 drowsy mentality와 general weakness 상태로 보호대와 압박스타킹을 착용한 채 주로 침대에 누워 지내고 있다. 의식이 저하되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연하곤란으로 비위관 식이를 받고 있다. 환자는 과거력상 고혈압, 당뇨, 만성신장병 등의 질환을 가지고 있었으며 2년 전 뇌출혈 수술을 받은 바 있다. 현재 입원 중인 환자의 주 진단명은 cranial arteriovenous fistula이다. 1...2025.05.10
-
투석 사례 보고서2025.05.291. 서론 투석은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두 가지로, 대상자의 평생에 영향을 주며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대표적인 신대체요법이다. 이번 학기에 만성신부전에 대해 공부하며 특히 인상 깊었던 투석의 연장선인 동정맥루의 관리와 간호에 대해 지식을 얻고자 본 사례연구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만성신부전은 콩팥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치료로 회복이 되지 않는 비가역적인 상태이다. 반복되는 감염과 콩팥염 악화, 요로계 폐색, 전신 질환 등이 콩팥의 기능을 서서히 저하시킨다. 만성신부전은 환자의 질병 원인, 건강 상태, 연령, 관리에 따라 진행 속도와...2025.05.29
-
만성신부전케이스2025.07.081. 만성 신부전 질환에 대한 이해 1.1. 만성 신부전의 정의 만성 신부전은 3개월 이상 신장이 손상되어 있거나 신장 기능 감소가 지속적으로 나타나 치료로 회복되지 않는 비가역적인 상태이다.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나누어지며, 잘 관리하지 않으면 마지막 단계로까지 악화되어 결국은 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신장대체 요법을 해야 한다. 만성 신부전은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신장 기능의 상실이며, 3개월 이상 사구체여과율(GFR)이 60ml/min/1.73m2 이하일 때를 의미한다. 사구체여과율이 15ml...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