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일상 속 불안전행동 사고사례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안전의식과 불안전행동
1.1. 무단횡단의 유형 및 행동양상
1.1.1. 급한 보행자
1.1.2. 습관적 무단횡단자
1.1.3. 군중을 따르는 보행자
1.1.4. 정보 부족으로 인한 무단횡단자
1.2. 무단횡단의 심리적 동기 분석
1.3. 불안전행동 개선을 위한 방안
2. 안전문화와 안전의식 저하
2.1. 이태원 10ㆍ29 사례 분석
2.1.1. 사고 개요
2.1.2. 사고 원인 분석
2.1.3. 구조적 원인 분석
2.2. 조직 안전문화 강화 방안
2.2.1.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과 훈련
2.2.2. 사고 예방을 위한 조직 구조 및 시스템 개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안전의식과 불안전행동
1.1. 무단횡단의 유형 및 행동양상
1.1.1. 급한 보행자
'급한 보행자'는 주로 시간에 쫓기거나, 목적지에 빠르게 도달하고자 하는 급한 마음에서 법규를 위반하는 경우이다. 이들은 횡단보도가 가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금이라도 빨리 갈 수 있는 길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들은 자신의 행동이 가져올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선택을 하는 것이다. 이는 인간의 인지적 편향 중 하나인 '즉각적 만족 추구'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즉, 급한 보행자들은 시간 절약이라는 즉각적인 보상을 추구하는 동기가 매우 강력하여, 장기적인 위험을 간과하고 무단횡단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1.1.2. 습관적 무단횡단자
습관적 무단횡단자는 특정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무단횡단을 함으로써, 그 행위가 습관으로 자리 잡은 경우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의 부재나 불편함을 이유로 들며,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한다. 습관적 무단횡단자는 주변 환경에 크게 의존하며, 그들의 행동 패턴은 오랜 시간 동안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변화시키기 어렵다. 이러한 습관은 일종의 '인지적 절약' 원칙에 의해 유지되는데, 이는 사람들이 일상적인 결정에서 덜 심사숙고하고 빠르게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신적 전략이다.
1.1.3. 군중을 따르는 보행자
세 번째 유형은 '군중을 따르는 보행자'로, 이들은 다른 사람들이 무단횡단을 할 때 함께 건너는 경향이 있다. 이는 '사회적 증거'의 심리적 원리에 기반한 행동으로, 타인의 행동을 본따 행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유형의 보행자들은 혼자서는 무단횡단을 시도하지 않지만, 다른 사람들이 무단횡단을 시작하면 그들을 따라 행동한다. 이는 개인이 군중 속에서 익명성을 느끼고, 개인적 책임감이 줄어들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와 함께, 타인의 행동을 보고 그것이 안전하다고 착각하는 '허위 합의 효과'도 관찰된다."이다.
1.1.4. 정보 부족으로 인한 무단횡단자
네 번째 유형은 '정보 부족으로 인한 무단횡단자'이다. 이들은 해당 지역의 교통 규칙이나 안전 수칙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무단횡단을 하는 경우이다. 특히 관광객이나 새로운 환경에 처한 사람들에게서 이러한 유형이 자주 발견된다. 정보 부족은 개인의 안전 의식 부재와 결합되어, 무지의 상태에서 발생하는 위험한 행동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외국인 관광객의 경우 생소한 교통 규칙과 문화적 차이로 인해 무단횡단을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새로운 환경에 처한 사람들은 지역의 교통 상황과 안전 수칙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무단횡단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정보 부족은 개인의 안전 의식을 낮추어 위험한 행동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교통 규칙과 안전 수칙에 대한 정보 제공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안전한 보행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1.2. 무단횡단의 심리적 동기 ...
...
참고 자료
Choi, J., Kim, S., Kim, S., Yeon, J., & Kim, C. (2015, June 30). A Study on Pedestrian Crashes Contributing Factors During Jaywalking.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https://doi.org/10.12815/kits.2015.14.3.038
백승엽(2012). 無斷橫斷交通事故 豫防對策에 관한 硏究 : - 횡단보도 및 무단횡단 방지시설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홍기만, 하정아, 김종훈(2021). 고령자/비고령자의 무단횡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3(17), 543-555.
위키피디아. 이태원 참사.
아주경제. 2022.10.30. [이태원 참사] 안전불감증이 사상자 불렀다.
이데일리. 2023.01.13. 이태원 사고 원인, ‘군중 유체화’…특수본이 되짚은 ‘그날의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