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자모제시순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모 제시 순서 고찰
1.1. 기존 교재의 자모 제시 순서
1.1.1. 국립국제교육원(2011), 맞춤 한국어1
1.1.2. 국립국어원(2007),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첫걸음
1.2. 제안하는 자모 제시 순서
1.2.1. 모음
1.2.2. 자음
1.3. 제안 이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모 제시 순서 고찰
1.1. 기존 교재의 자모 제시 순서
1.1.1. 국립국제교육원(2011), 맞춤 한국어1
맞춤 한국어1에서 제시한 자모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모음의 경우 단모음 ㅏ[a], ㅓ[eo], ㅗ[o], ㅜ[u], ㅡ[eu], ㅣ[i]를 먼저 제시하고 이어서 이중모음 ㅑ[ya], ㅕ[yeo], ㅛ[yo], ㅠ[yu]를 제시하고 있다"" 발음기호를 함께 제시하여 학습자가 직접 소리 내어 읽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자음의 경우 ㄱ[g/k], ㄴ[n], ㄷ[d/t], ㄹ[l/r], ㅁ[m], ㅂ[b/p], ㅅ[s], ㅇ[ng], ㅈ[j], ㅊ[ch], ㅋ[k], ㅌ[t], ㅍ[p], ㅎ[h]의 순서로 기본자음들을 제시하였다"" 이때에도 발음기호를 함께 제공하여 학습자가 정확한 발음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맞춤 한국어1에서는 단모음-이중모음, 기본자음의 순으로 자모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발음기호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읽어보고 따라 연습할 수 있도록 한 점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1.1.2. 국립국어원(2007), 여성...
...
참고 자료
네이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국립국어원- 한국어어문규범, http://kornorms.korean.go.kr/regltn/regltnView.do#a179
저자 - 박창원, 출판년도 - 2016년도, 도서명 - 한국어의 음운과 문자(발음과 표기를 중심으로), 출판사 - 지식과 교양
유소영,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교안
장혜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발음교육론”교안
원순옥, 강주영, “한국어 자모 교육의 표준화 방안”, 민족연구 59권0호: 한국민족연구원, 2014
유소영, “한국어 교재에서의 자모 제시 순서 연구”, 반교어문연구 51권0호: 반교어문학회, 2019
김한샘,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국립국어원, 2005
국립국제교육원(2011), 맞춤 한국어1
국립국어원(2007),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첫걸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