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 현대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시뮬라크르와 현실세계의 모순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1.3.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의 정의
1.4.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의 영화에서의 예시분석
1.5. 현대 사회의 시뮬라크르
1.6. 시뮬라크르의 허용기준
2. 시뮬라크르 세계 속의 냉소적 미술가들
2.1. 기호의 분해와 세계의 시뮬라크르화(化)
2.2. 시뮬라크르와 실재의 재구성
2.3. 시뮬라크르 속 허구적 실재의 전략
2.4. 자본에 의한 시뮬라크르의 대량 생산
2.5. 계몽된 허위의식과 그 모순
2.6. 냉소주의 미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시뮬라크르와 현실세계의 모순
1.1. 연구의 필요성
시뮬라크르[simulacre]란 본래의 것을 무의미하게 만드는 복제품을 말한다. 그렇게 되면 처음의 본질은 무의미해 진다. 그렇다면 개인이 가지게 되는 본질적인 것들은 모두 무의미한 것으로 전락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무의미한 본질 속에 안주하며 살려고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또한 개인의 경험과 그에 따른 감정, 추억들은 시뮬라크르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실 속에 존재하는 사람이 무의미한 시뮬라크르의 세상 속에 살아간다는 것은 모순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세계 속의 존재하는 시뮬라크르를 모두 인정하는 것은 모순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번 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뮬라크르 허용 기준의 범위를 규정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시뮬라크르의 범위를 규정함으로서 시뮬라크르와 현실이 공존할 수 있는 범위를 만들어 내는 것이 이 문제의 해결법이다.
1.2.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영화 "트루먼쇼"와 "인셉션"속에서 나타난 시뮬라크르 속에서 벗어나려하는 등장인물들을 연구범위로 한정한다. 영화 "트루먼쇼"에서 시뮬라크르라는 것을 깨달은 사람들의 행동을 살피고 시뮬라크르 속에 자신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달은 트루먼씨의 행동을 실제 세계의 대입하여 사람들이 자신이 존재하는 세계가 시뮬라크르라는 것을 깨달았을 때의 발생하는 혼란을 가정해본다. 두 번째로는 영화 "인셉션"속의 인물들이 시뮬라크르 세게 속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알아본다. 두 영화를 통해 시뮬라크르와 의미 있는 현실세계는 공존할 수 없음을 보이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뮬라크르의 허용 범위를 규정한다.
1.3.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의 정의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시뮬라시옹이란 시뮬라크르의 동사적인 의미인 '시뮬라크르 하기' 즉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마치 실제로 있는 것처럼 만들어 놓은 것, 그래서 실제와 가상이 혼란스러워진 상태를 시물라시옹 현상이라 한다. 즉, 시뮬라크르는 현실을 대체하는 가상적인 것으로써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생생히 인식되는 이미지를 가리킨다. 시뮬라크르를 복제의 복제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복제가 수없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원본이 아무런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1.4.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의 영화에서의 예시분석
영화 "트루먼쇼"와 "인셉션"속에서 나타난 시뮬라크르 속에서 벗어나려하는 등장인물들을 통해 시뮬라크르와 현실세계의 모순을 보여준다.
영화 "트루먼쇼"에서 트루먼씨가 자신이 살아가는 세상이 실제 세계가 아닌 시뮬라크르의 세상이라는 것을 깨닫고 벗어나려 노력하는 모습이 나온다. 트루먼씨는 자신의 삶의 터전이 전부 인위적인 복제물로 이루어진 가상의 세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다른 배우들에게는 그 세상이 단순한 촬영장일 뿐이지만, 트루먼씨에게는 현실 세계가 된 것이다. 즉, 시뮬라크르의 세상과 실재 세계가 공존하고 있지만 그들에게 부여된 의미는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트루먼씨의 경우 시뮬라크르 속 세상이 자신의 삶의 터전이 되었기에 그 세상을 벗어나려 애쓰지만, 다른 배경 인물들에게는 그저 촬영장에 불과하다. 시뮬라크르의 세상 속에서 살아가는 트루먼씨와 실재 세계에 속한 사람들 사이의 이러한 모순은 시뮬라크르와 현실세계가 공존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또한 영화 "인셉션"에서도 시뮬라크르의 세계 속에서 벗어나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주인공 맬은 현실이 아닌 꿈의 세계, 즉 시뮬라크르의 세계에 살아왔다. 그녀는 꿈속에서 이상적인 가정을 꾸리고 있지만, 결국 현실로 돌아가려 노력한다. 현실이 아닌 세상에서의 삶은 무의미하다는 것을 깨닫기 때문이다. 맬의 자살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그녀가 현실을 꿈으로 오인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즉, 시뮬라크르의 세계에 갇힌 인물들이 결국 현실세계로 돌아오려 노력한다는 점에서, 이 영화 역시 시뮬라크르와 실재가 공존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두 영화 모두 시뮬라크르의 세계와 현실세계가 공존할 수 없음을 ...
참고 자료
김희봉, 「들뢰즈의 시뮬라크르와 존재의 새로운 이해」,『人文科學』, 제 93집,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박치완,「보드리야르의 가상국(假像國), 소비(풍요) 사회의 모델에 기초한,『J.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시뮬라시옹 개념에 대한 일 반역(反譯), 제 21집, 한국해석학회, 2014.
이정희,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을 중심으로 한 국내 미디어아트 연구」,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장호현, 이지은, 「TV광고에 나타난 시뮬라시옹에 관한 연구」, 『論文集』, 제 41집, 강남대학교, 2016
질 들뢰즈,『의미의 논리』, 이정우 역, 한길사, 1999,
단행본
페터 슬로터다이크, 이진우, 박미애 공역, 《냉소적 이성 비판》, 에코리브르, 2005
장 보드리야르, 이규현 역, 《기호의 정치경제학 비판》, 문학과 지성사, 1998
할 포스터, 이영욱, 조주연, 최연희 공역, 《실재의 귀환》, 경성대학교출판부, 2003
논문
장 보드리야르, 하태환 역, 〈시뮬라크르들의 자전〉,《시뮬라시옹》, 민음사, 2001